EZ EZViwe

"바른`언론의`길`걸어라"

동아-한겨레`지면`공방`치열

박주선 기자  2001.05.19 00:13:31

기사프린트

공정위`내부거래조사`보도`관련



'왜곡이다-아니다’`갑론을박`벌여



16일자 동아일보의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내부거래 조사 실시’ 관련 보도를 둘러싸고 동아일보와 한겨레가 칼럼을 통해 ‘언론의 바른 보도’를 주장하면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안재승 한겨레 경제부 기자는 17일자 취재파일 ‘안쓰러운 동아의 왜곡보도’를 게재하면서 “동아일보의 왜곡보도가 갈수록 도를 더하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안 기자는 칼럼에서 “동아일보는 공정위가 두산과 효성 등 7개 그룹에 대해 부당내부거래 예비조사를 시작하자, 16일자 1면 머릿기사로 ‘7개 그룹 부당내부거래 전격조사’라고 보도했다”며 “이미 지난 4월 16일 이남기 공정거래위원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발표한 사안으로 ‘전격조사’라는 표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동아일보가 4월 17일자에 이 위원장의 기자간담회 내용을 보도할 당시 “신문고시 때문에 언론의 집중적인 질타를 받은 데 대한 국면 전환용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고 지적했으나 5월 16일자에는 “정부와 재계가 출자총액 부활 등 미묘한 사안에 대해 논의 중인 시점에서 조사가 이뤄져 궁금증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며 “한달 전에는 ‘신문고시 국면전환용’이던 부당내부거래 조사가 이번엔 ‘재계에 대한 무기’로 둔갑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관련 기사를 출고했던 최영해 동아일보 경제부 기자는 곧바로 18일자 기자의 눈 ‘바른 언론의 길’을 통해 “한겨레는 공정위의 대변인이나 된 것처럼 이번 조사에 아무 문제 없다는 공정위의 논리를 그대로 반영했다”고 반박했다.

최 기자는 “지금까지 공정위의 예비조사란 재무제표, 공시사항, 제보 등의 자료를 자체 분석하는 간단한 방식이었지만 이번 조사는 달랐다. 해당 기업들은 공정위 직원이 현장에 들이닥치지 않았을 뿐이지 본조사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또 공정위가 해당 기업들에 통보한 시점에 대해 “출자총액제한 제도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공정위와 재계간 갈등이 빚어지던 7일이었다”며 공정위 조사 배경에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를 작성했던 데 대해 설명했다.

특히 같은 사안에 대해 상반된 시각을 보였던 두 기자 모두 칼럼 마지막 부분에서 언론의 기본 원칙을 상기시키면서 서로의 보도를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안 기자는 “사실보도라는기본원칙을 저버리는 신문의 모습을 보면서 같은 언론인으로서 가슴 아플 따름”이라고 밝혔고 최 기자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은 언론의 존재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한편 공정위는 ‘7개 그룹 110개사 부당내부거래 전격 조사(1면)’와 ‘재계 목소리 내자 칼빼(3면)’를 보도한 16일자 동아일보 가판이 나온 즉시 15일 해명자료를 내고 “실무차원의 사전 자료 입수를 위해 관련자료 요청을 한 것이며 실제 조사에 착수한 것이 아니다”라며 “재계의 출자총액제한제도 등에 대한 건의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또 17일 동아일보에 반론보도 및 정정보도 게재를 청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