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택 위원장의 창사기념품 선정 개입과 강철구 부위원장의 성추행 의혹으로 안팎에서 물의를 빚어온 KBS 노조는 지난 탄핵 투표에서 가까스로 고비를 넘기는 듯 보였다. 하지만 탄핵 투표가 부결된 이후에도 집행부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신의 골은 깊어졌고, 자체 해결을 지켜보던 상급단체인 언론노조도 정·부위원장에 대한 징계 조치를 단행했다. 결국 KBS 조합원들은 노조 집행부의 사퇴를 촉구하는 최후 수단으로 노조 집단 탈퇴까지 결의하고 나섰다.
먼저 PD들이 17일 KBS 본관 내 민주광장에서 총회를 갖고 노조 집단 탈퇴를 결의했다. 이날 PD들은 “탄핵투표 부결 이후 노조의 개혁을 애타게 기다렸지만 집행부는 ‘음모론’ 운운하며 자신들의 과오를 덮기에만 급급하고 개혁을 위한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노조 혁신과 환골탈퇴를 바라는 결연한 심정으로 집단 탈퇴를 결의한다”고 밝혔다.
PD들은 또 현재 노조 집행부에 전임으로 파견된 김영환 정책실장과 문형렬 노보 편집국장에 대해 전임 해제 및 현업 복귀를 권유했다.
기자들도 노조 집행부 퇴진을 공식 촉구했다. KBS 지회(지회장 용태영)는 16일 운영집행위 연석회의를 갖고 “더 이상 노조의 정상적 활동은 어렵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노조 집행부의 용단을 촉구한다’는 성명을 통해 “노조의 도덕성까지 도마에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현 집행부의 가야할 길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며 “산적한 현안에 대해 시원한 비전을 제시해도 모자랄 노조 집행부가 자기 앞가림에 급급한 모습이 참으로 답답하다”고 밝혔다.
다른 직능단체와 실국들도 현 집행부를 규탄하는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KBS 편성국 한 조합원은 “PD들의 집단 탈퇴 결의를 기점으로 현재 각 실국별로 총회를 준비하고 있다”며 “조합원들의 탈퇴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강철구 기자를 제명한 언론노조(위원장 최문순)가 지난 11일 KBS 박권상 사장 앞으로 공문을 보내 강 기자의 노조 전임 해제를 요구, 회사측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언론노조는 “강 기자를 노조 전임자로 인정할 이유와 법적 근거가 없으며 소속 일터로 복귀시키는 게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KBS 노무국 한 관계자는 “비조합원이 됐으니 공방위 대표 문제 등과 관련해 곧 회사 입장을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