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조선의 ‘사상공세’가 잇따라 불발에 그치고 있다. 월간조선은 공식 질의서를 보내는 등 참여연대 관련 취재에 나섰으나 6월호에 기사를 게재하지 않았다. 월간조선 5월호에는 한명숙 여성부장관 인터뷰도 누락됐다. 이 인터뷰는 통혁당 사건으로 체포된 남편 박성환씨에 대한 질문이 포함됐었다.
5월호에 ‘참여연대는 정치적 권력기구로 변질되어 체제변혁을 지향하고 있다’는 박찬종 자유기업원 NGO실장의 글을 게재했던 월간조선은 지난 14일 참여연대에 조직현황, ‘10만 양병설’ 등을 묻는 22개항의 질의서를 보냈다.
참여연대 김민영 시민사업국장은 “월간조선측에서 내부문건을 입수했다며 질의서를 보냈으나 자체 프리젠테이션용 문건을 확대 해석한 문항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김 국장은 “내용 가운데 ‘회원수 10만명 확대’ 캠페인 제안을 ‘10만 양병설’로 표현했는데 이를 오해해 질문한 것도 있었다”면서 “기사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특별히 이 문제를 언급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월간조선측은 “참여연대의 답변서가 늦게 도착했고, 최근 움직임과 관련 추가 취재할 부분들이 필요해 7월호로 게재 시기를 늦췄다”고 밝혔다. 또 “답변에는 내부문건 입수 경위 등을 밝히라는 요구도 포함돼있다”고 전했다.
한편 참여연대는 월간조선 5월호에 실린 기고문과 관련 법적 대응을 준비중이다. 이 글은 참여연대의 소액주주운동 등이 민중운동의 성격을 띨 여지가 있다면서 “진보적 시민단체로서 자기 규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비계급적 차원에서 벌이고 있는 활동들도 언제든지 계급지향의 사회운동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측은 “왜곡된 부분에 대해서는 명예훼손 혐의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간조선은 지난 4월 한명숙 장관을 인터뷰한 후 작성된 기사를 5월호에 게재하지 않았었다. 월간조선은 인터뷰 말미에 남편 박성환씨와 통혁당 사건, 북한 상황에 대한 입장 등을 물었으며 한 장관은 여성부 관련 질문 외에 답변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장관을 인터뷰한 우종창 취재팀장은 “기사의 80% 정도는 여성부 관련 내용이었고 나머지가 통혁당이나 북한과 관련한 것이었다”면서 “말미에 굳이 이같은 내용을 포함시키는 데 대한 내부 지적도 있었고 한 장관측에서도 여성부 관련 사항 외에는 게재하지 말라고 요구해 기사자체를 게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