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 언론학자들은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 공개와 신문고시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신문과 방송’ 6월호가 지난달 18, 19일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2001 한국언론학대회’에 참석한 언론학자(전임교수 및 박사과정 이상) 1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2%가 ‘세무조사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세법에 따라 공개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은 12.2%에 그쳤으며, ‘위법사안에 대해 선별적으로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은 27.6%였다.
또 신문고시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필요하다’가 49.2%, ‘어느 정도 필요하다’가 35.5%로 나타나 대다수의 언론학자들이 신문고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언론개혁의 주체는 언론사 내부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 54.5%로 가장 많았지만 언론이 자율개혁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74.4%(대체로 아니다 47.2%, 전혀 아니다 27.2%)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대조를 이뤘다. 개혁 주체로는 언론사 내부와 함께 기자협회 언론노조 등 언론단체(23.1%), 시민단체(13.2%) 등을 꼽았다.
또 언론학자들은 언론계가 해결해야 할 자율개혁 최우선 과제로 사주의 압력 배제(58.4%), 정부의 통제 배제(13.6%), 기자윤리의 제고(12.8%), 전문성 강화(11.2%) 등을 지적했다.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96%가 ‘그렇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정간법 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94.4%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언론개혁 과제로는 편집권 독립(57%), 소유지분 제한(14.9%), ABC제도 정착(14%), 경영자료의 투명성 확보(9.1%) 등을 꼽았다. 정간법에 명문화해야 할 항목 역시 편집권 독립(84.7%), ABC 제도 정착(70.3%), 소유지분 제한(54.2%), 경영자료 투명성 확보(54.2%) 등이 우선 순위를 차지했다(복수 응답).
신문, 방송의 미디어 보도에 대해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전혀 만족스럽지 못하다(15.2%), 별로 만족스럽지 못하다(56.8%) 등인 반면 매우 만족스럽다(0%), 대체로 만족스럽다(4.8%)로 나타났다. 미디어 보도가 고쳐야 할 점으로는 의견의 다양성 부족이 35.8%로 가장 많았고, 자사 이기주의적 보도(24.4%), 사실과 다른 보도(19.5%), 상충되는 의견을 균등하게 배려하지 않는다(13.8%)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