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상훈 신문협회장은 언론개혁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방 회장은 "신문의 진정한 개혁은 질적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전제한 뒤 "밖에서 누가 대신 해줄 수 있는 일이 아니고 신문의 주인인 경영진과 기자들이 할 일"이라고 밝혔다. 그에 대한 평가는 독자의 몫으로 돌렸다.
그러기에 방 회장은 '국가개입론'에 반대다. "국가권력은 우화에 나오는 낙타의 속성을 갖고 있다. 낙타는 맨처음 발 한짝만을 들여놓다가 차츰차츰 몸을 다 들여놓아 주인의 텐트를 차지한다는 얘기가 있다. 국가가 언론에 개입하기 시작하면 자꾸 거기에 빠져들어 마침내는 언론자유를 빼앗아 버리게 된다."
국가 개입 반대론은 신문협회 차원의 '질적 발전'을 위한 자율적인 작업 얘기로 흘러간다. 지난달 중순부터 실시한 무가지 배포 처벌 강화와 신고자에 대한 보상금 지급는 언론 발전을 진일보시킨 것이란 평가다. 과거 신문협회가 친목단체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것과 비교, "이젠 자율적으로 고쳐가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말이다.
언론인의 직업윤리 정립 대책에 대해 방 회장은 "정확한 사실을 발굴해서 알리고 비판을 서슴지 말아야 할 언론인 먼저 깨끗한 몸가짐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남의 부정과 불의를 고발할 수 있겠느냐는 반문이다.
방 회장은 조선일보 기자들에게도 성직자 기준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보다는 엄격한 윤리의식을 준수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고 소개했다. 이를 위한 경영진의 뒷받침 역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역대 정권과 언론 사이에 되풀이된 '불편한' 관계에 대해 방 회장은 "언론은 권력과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권력을 견제해 나가야 한다"는 원칙론을 고수했다. 그것이 민주사회를 버텨가는 요체로 보는 시각이다. 이를 위해 ▷정확하고 공정한 기사를 쓰겠다는 각오와 ▷틀린 기사에 대해서는 주저하지 않고 정정할 수 있는 용기를 겸비한 '엄격한 윤리의식'을 재차 강조했다.
반복된 '불편한' 정부와 관계의 요인을 '통제책'에서 찾는다면 현 정부의 달라진 언론정책은 어떻게 평가할까? "권력이 언론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과거 정권 하에서는 거칠었고 지금은 상당히 유연해진 것 같다.
또 과거정권이정당성 결여라는 콤플렉스를 해결하려고 집요하게 언론을 회유하려 했다고 본다면, 지금 정부는 자신들의 정당성을 다소 과신하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본다. 정당성이 있는 만큼 언론도 우리를 당연히 따라줘야 하는데 왜 비판만 하느냐, 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일부 있는 것 같다."
또한 방 회장은 "기자협회가 기자들의 직업정신을 부단히 일깨우는 일에 앞장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소소한 가십성 사안들에 매달리기 보다는 어떻게 하면 한국언론도 정확한 보도를 할 수 있을 것인가, 기자들의 윤리의식을 제고시키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언론자유의 폭을 넓히기 위해 기자협회가 할 일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들을 깊이있게 고민해주길 바란다"는 요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