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IFJ-IPI "제 갈 길 간다"

한국상황 '개혁지지' '탄압' 시각차 뚜렷

김상철 기자  2001.06.16 00:00:00

기사프린트

국내의 언론개혁 논란을 둘러싸고 국제기자연맹(IFJ)과 국제언론인협회(IPI) 입장이 명확히 갈리고 있다.

IPI는 지난 8일 요한 프리츠 사무총장 명의로 ‘제24차 IFJ 서울총회에 부치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유토피아의 언론자유 이야기’라는 제목의 이 문건에서 IPI는 한국을 유토피아로 가정하자며, ‘정부의 언론탄압’ 주장을 되풀이했다. “유토피아의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언론개혁 필요성을 강조하자 친정부 방송사들은 신문개혁을 다루는 프로그램을 여러 차례 방영해왔고 일부 시민단체들은 이 기회를 이용, 자신들의 언론개혁 요구를 널리 알렸다”는 것.

또 세무조사와 관련 “IPI에서 독립적인 언론의 비판 목소리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가 진행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명하자 정부 대변인으로부터 유토피아에 대한 무례한 내정 간섭이라며 공개 사과를 요구하는 성난 회신을 받았다”고 밝혔다.

IPI는 “6월 1일 IFJ 사무총장이 ‘세무조사가 언론자유를 위협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이라는 보도자료를 내놓은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닐 수 없다”며 “유토피아에 가까이 갈수록 언론자유에 대한 견해와 시각이 바뀌는 것은 명백하다”고 언급했다.

반면 총회 기간 중에도 IFJ 입장은 확고했다. 크리스토퍼 워렌 회장은 11일 열린 개막식에서 세무조사와 관련 “몇몇 주요 일간지들에 의해 한국 정부가 언론을 억압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나 우리는 이런 비판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워렌 회장은 각종 인터뷰에서 “IPI는 발행인과 편집인들을 대표하는 단체로 회사의 이해관계에 더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조직인데 반해 IFJ는 일선기자들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PI에 비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사안을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언론발전을 위한 결의문이 채택된 14일 기자회견에서도 워렌 회장은 “일부 보수언론들의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 IFJ는 그같은 대정부 비판 자체가 언론자유를 누리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언론개혁 논쟁은 여러 이해 당사자들이 얽혀 있는 만큼 국제언론단체들도 일부 주장에 편향되지 말고 보다 종합적이고 균형 잡힌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