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언론개혁을 적극 지지하는 국제기자연맹(IFJ)의 결의문에 대한 각 신문들의 보도 태도는 각사 입장에 따라 엇갈렸다.
IFJ가 14일 ‘한국언론 발전을 위한 결의문’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서울 선언’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항의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자 대한매일과 한겨레는 1면 기사와 사설 등을 통해 이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반면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한국일보는 IFJ의 결의문 채택을 보도하지 않았다. 특히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경우 국제언론인협회(IPI)가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해 “언론의 비판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라고 지적한 것을 비중있게 보도했던 것과는 크게 대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앙일보는 결의 내용 중 언론개혁 지지나 언론사주 간섭 최소화 등의 핵심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채 “언론개혁 뒤에 정치적 의도 경계”라는 부분을 부각시켜 ‘자의적인 인용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겨레는 1면에 결의문을 채택하는 현장 사진과 “한국 언론개혁 적극지지” 제하 3단 기사를 실었다. 또 ‘국제기자연맹 결의를 존중한다’ 제하 사설을 통해 국제기자연맹이 제기한 ‘언론자유 회복은 시민들의 민주화 투쟁에 힘입은 것’ ‘여론의 독점 현상’ 등에 반성과 공감을 표하며 “아직 참언론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언론에 보내는 국제기자연맹의 통렬한 메시지에 다시금 시대적 소명을 되새긴다”고 밝혔다.
대한매일은 결의문 중 “정부가 대한매일과 연합뉴스의 독립적 위상 정립 확보를 위해 적극 협조할 것을 촉구한다”는 데 주목하며 1면에 ‘대한매일 민영화 정부 협조 촉구’ 제하 기사를 게재했다. 또 사설 ‘국제기자연맹이 본 한국언론’에서 IFJ 결의문에 대한 공감 및 자성의 목소리를 담았다.
한편 경향신문, 국민일보, 문화일보는 각각 “한국 언론개혁 적극지지” ‘한반도 평화 정착 결의문 채택’ “일부 신문 독과점 심화” 등의 제목으로 2면에 결의문 내용을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