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바라는 인류의 염원은 냉전의 마지막 섬으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서 더욱 절실하다. 한반도는 여전히 세계의 몇 안되는 화약고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이 발생할 경우 전세계의 평화와 안정이 크게 위협받게 될 것임은 너무도 자명하다.
다행스럽게도 한반도의 두 당사자인 대한민국(한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은 지난해 6월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개최함으로써 반세기 넘어 지속돼 온 반목과 대결 구조를 허물어뜨리고 화해와 협력, 그리고 평화의 기초를 마련했다. 양측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가진 이 정상회담에서 지난 1972년 7·4 공동성명에 명시한 자주적 평화통일 원칙을 거듭 확인했다. 또 양측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각각의 통일방안에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커다란 한 걸음’을 내디뎠다.
한국과 조선이 탄생시킨 6·15 공동선언은 화해와 평화를 바라는 전 세계인으로부터도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을 비롯한 서구 여러 나라들은 6·15 공동선언 발표 이후 잇따라 조선과 수교 대열에 합류했다. 특히 우리는 유럽연합이 지난 5월 조선에 이어 한국을 잇따라 방문해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더불어 ‘은둔과 폐쇄의 왕국’으로 일컬어지던 조선도 이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과거 적대관계를 유지했던 나라들과도 공동번영을 추구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조선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국제사회 편입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이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동북아, 그리고 세계의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믿으면서 IFJ 소속 전세계 언론인의 이름으로 다음과 같이 촉구, 결의한다.
1.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제(MD) 수립 계획이 한반도 평화정착에 걸림돌이 돼서는 안된다. 특히 조선이 미사일 문제를 협상을 통해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미국은 조선과 대화로써 현안을 해결해야 하며 한국에 대해서도 미사일방어망 수립 동참을 강요해서는 안된다.
2. 한국과 조선은 제2차 정상회담 개최를 내외에 확신시켜야 한다. 2차 정상회담 개최를 포함한 정상회담의 정례화는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측의 정지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은 조선을 적으로 인식하도록 강요하는 국가보안법을 개정 또는 철폐해야 할것이다. 국가보안법은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요소로 지적돼 왔다는 사실도 아울러 상기시키고자 한다. 한편 조선은 한국과 관계개선이 미국과의 관계개선에도 기여하게 된다는 데 유의해야 할 것이다.
3. 언론인들은 한반도 문제를 사실(fact)에 기초해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보도해야 한다. 취재원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이 추정에 근거해 편향된 시각을 전달하는 보도 태도에 면죄부가 되지는 않는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보도를 추구하는 저널리즘의 원칙은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도 예외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언론인들은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