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사`세무·공정위 조사`보도`어떻게`했나

박미영 기자  2001.06.23 13:24:44

기사프린트

동아·조선·중앙`“비판언론`죽이기”`한목소리



경향·한겨레`“법대로”…`국민·한국`“양비론”





세무조사와 공정거래위 조사 결과가 일부 공개되면서 언론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각 언론사들은 이를 연일 주요기사로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보도내용은 추징 규모 및 사주의 고발여부 등 각 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부의 언론탄압을 강조하며 가장 공세적인 보도태도를 취하고 있는 언론사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이 두 신문은 야당의 주장을 크게 부각시켜 세무조사가 ‘비판언론 죽이기’라는 식의 여론공세를 폈다.

조선일보는 21일자 1면 3단 <야 “비판언론 죽이기”>, 4면 머릿기사 <언론사 세금 추징 한나라당 반응 “언론사 전면 재편하려는 의도”> 등 야당의 주장을 크게 부각시켜 보도했다. 이같은 기사가 나가자 동아일보는 당초 21일자 가판신문에서 여당과 야당의 주장을 1단으로 똑같이 보도하는 등 담담한 태도를 보이다가 시내판에서 1면 3단 <야 “비판언론 말살의도”>, 4면 머릿기사 <야 “언론 목조르기 결정판”> 등 조선일보와 보조를 맞췄다.

두 신문은 또 사설 <언론사 ‘세금 추징’ 사상 최대>(21일자 조선), <사상 최대 세금추징의 앞과 뒤>(22일자 동아)에서 “중소기업 수준의 언론사에 천문학적인 액수의 세금을 부과했다”며 “국세청이 의도적으로 추징세액을 부풀리려고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중앙일보는 ‘세무조사를 언론 흠집내기’라고 주장하는 면에서는 동아, 조선과 같았지만 여야의 주장을 같은 크기로 보도하는 등 약간의 차별성을 보였다. 중앙일보는 21일자 사설 <언론을 부도덕 집단으로 몰지 말라>에서 “이번 세무조사는 그 목적이 언론 흠집내기에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을 짙게 한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낸 한편, 22일자 1면 머릿기사로 <야 “정권 재창출용 길들이기”, 여 “조세정의 차원 적법조사”>를 보도하는 등 세무조사를 둘러싼 여야의 주장을 정치권의 공방으로 다뤘다.

반면 경향신문, 대한매일, 한겨레 등은 세무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족벌언론의 부도덕성을 강조하고 엄중한 처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신문은 각각 <탈세수법 유형 재벌기업 뺨친 족벌 치부>(21일자 경향), <어떻게 탈루했나-가짜영수증 편법 증여 등 갖가지>(21일자 한겨레), <족벌언론 부도덕성놀랐다>(22일자 대한매일) 등 탈세유형 등을 자세히 보도했다. 또 각각 <언론사 세무조사 처리 엄정해야>(21일자 경향), <범법언론 고발 미루지 말라>(대한매일 22일자), <언론사 범법 엄정 단죄해야>(21일자 한겨레) 등 사설을 게재하고 탈법 언론사에 대한 엄중한 처리를 촉구하는 등 한 목소리를 냈다.

이밖에 문화일보가 21일자 사설 <언론 세무조사 당위와 파장>에서 “불법, 범법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처리해야 하나 관행 등으로 발생한 일에 대해서는 포용적인 해석을 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국민일보와 한국일보가 각각 21일자 사설 <정부·언론 이성적 대응을>, <부끄러운 언론 현실>에서 “무조건적인 언론탄압 주장은 공감을 얻지 못한다”고 밝히면서도 “정부도 ‘정부의 통제’로 비치는 현실을 반성해야 한다”고 밝히는 등 양비론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한편 이번 세무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던 세계일보는 22일자 1면에 <정부 “언론사와 타협없다”>에서 고위관계자의 말을 빌어 “추징세금 전액 징수 할 것”이라는 내용을 강조하는 등 다소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세무조사에 이어 잇따라 발표된 공정위 조사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신문들은 세무조사 보도의 연장선상에서 같은 맥락으로 보도했다.

동아, 조선, 중앙은 <입바른 빅3엔 ‘쇠방망이’>(동아), <언론사 소명자료 거의 안받아들여>(조선), <중기급 언론에 재벌급 과징금>(중앙) 등 기사를 게재하고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동아일보는 22일자 1면에 <“부당 과세-과징금 법적 대응 언론자세 의연하게 지킬 것”>이라며 김학준 동아일보 사장의 발언 내용을 크게 보도하는 등 과세 및 과징금 내역이 ‘부당’하다고 못박았다.

반면 경향, 대한매일, 한겨레는 <사주·친인척 부당 지원 다반사>(경향), <“또 탈법” 도덕성 깊은 상처>(대한매일), <2세에 주식 헐값매각>(한겨레) 등 특히 족벌언론의 부당내부거래 사례를 부각시켜 보도하는 등 위의 3개 신문과 대비되는 보도를 했다.

이밖에 문화일보와 국민일보는 <언론계, 엄청난 금액에 생존까지 걱정>(국민), <국세청 추징에 이은 공정위 과징금>(문화) 등 언론계에 미칠 파장을 부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