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세무조사`언론개혁`촉진"

언론개혁`'정부개입`필요'`54.5%

김상철 기자  2001.06.23 00:00:00

기사프린트

상당수 기자들이 언론사 세무조사가 언론개혁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언론개혁에 동의하는 기자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일정 수준의 정부개입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인 베스트리서치(www.

bestresearch.co.kr)가 전국의 언론사 기자 429명(신문 256명, 방송 124명, 통신 49명)을 대상으로 지난 9일부터 17일까지 실시한 설문 결과 나타났다.

먼저, 응답자의 대다수인 95.8%(411명)가 언론개혁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필요하지 않다는 답변은 4.2%에 불과했다. 언론개혁이 필요하다는 응답자 가운데 70.1%는 언론사 세무조사가 언론개혁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봤으며 22.6%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언론개혁을 후퇴시킬 것이라는 답변은 7.3%였다.

또 언론개혁을 위한 방안으로 일정 수준에서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54.5%)이 언론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40.4%) 보다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91.2%는 세무조사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86.1%는 신문사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한 공정거래위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이 필요하다는 응답자 중 22.9%는 가장 시급한 언론개혁 과제로 편집권 독립을 꼽았으며 특정인의 소유지분 제한(22.1%), 언론인들의 개혁의식 강화(19.0%), 사이비언론 척결 및 내부 개혁(14.8%) 등이 뒤를 이었다.

신문기자들은 소유지분 제한(25.4%)이 가장 많았고 개혁의식 강화(19.8%), 편집권 독립(18.0%) 순으로 나타났다. 방송기자의 경우 편집권 독립(30.8%), 개혁의식 강화·소유지분 제한(18.3%) 순이었다.

한편 언론보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집단으로 전체 응답자들의 58.0%가 언론사주 및 경영진을 지목했으며 편집국장 및 데스크(12.4%), 광고주(10.5%), 취재기자(9.3%), 정부(8.4%) 등이 뒤를 이었다.

신문의 경우 사주 및 경영진(53.1%), 광고주(14.0%), 편집국장 및 데스크(13.3%), 방송은 사주 및 경영진(63.7%), 편집국장 및 데스크(11.3%), 취재기자(10.5%) 순이었다. 또 신문과 방송 등 매체간 상호비평에 대해 전체 응답자들의 85.8%가 필요하다고 봤으며 14.2%는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