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개혁 범국민운동 확산 계기

언론개혁 6월 선언 의미

서정은 기자  2001.06.30 00:00:00

기사프린트

사회민주화를 위해 투쟁해온 각계 인사 5500여명이 29일 ‘언론개혁 6월 선언’을 통해 정간법 개정과 세무조사 결과의 적법한 처리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언론개혁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시민과 함께 하는 언론개혁’을 기치로 내건 ‘신문개혁국민행동’이 발족한 지 석달 만에 종교 여성 환경 학계 문화예술 노동 농민 빈민 통일 교육 법조 등 각계각층으로 언론개혁 요구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아울러 시민사회단체들은 물론 현직 언론인들까지 이번 6월 선언에 대거 참여함으로써 언론개혁 운동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6월 선언 참가자들은 “언론의 자유는 온 국민의 자유여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명제를 언론개혁의 첫 과제로 꼽았으며 국세청이 일부 언론사주들을 검찰에 전격 고발하면서 비리 행태가 드러나자 엄정한 처벌을 촉구했다. 이날 각 부문별 선언에서 참가자들은 “최근 국세청의 세무조사와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결과 드러난 언론계의 불법와 탈법, 비리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반성은 커녕 연일 ‘언론 탄압’과 ‘언론자유 말살’ 음모를 제기하며 여론의 호도를 일삼는 일부 언론의 태도에 분노를 참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어 “일부 보수 족벌사주에 의해 장악된 편집권은 이미 내부적 장치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오래 전에 넘어섰다”며 정간법 개정, 언발위 설치 등 언론개혁 제도개선 운동에 적극 동참하겠는 의사를 밝혔다.

6월 선언에 동참한 현직 언론인들의 반성과 결의는 더욱 절절했다. 이들은 “언론인이 사회 민주화의 초석은 커녕 걸림돌로 치부되는 현실과 사회개혁의 최우선 대상이라는 지탄이 부끄럽기만 하다”며 “언론민주와 투쟁의 소중한 의미를 되새기면서 자유언론, 민주언론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내딛겠다”고 다짐했다.

29일 현재 언론개혁 6월 선언에 동참한 인사는 모두 5528명이며 서명운동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김성수 성공회 주교, 문정현 신부, 진관 스님 등 종교계 200여명 ▷최열 환경연합 사무총장, 임삼진 녹색연합 사무처장 등 환경부문 100여명 ▷지은희 여성연합 대표 등 여성계 300여명 ▷박찬석 경북대 총장, 김윤자 교수 등 학계 400여명 ▷고은 시인, 김지하 시인 등 문화예술계 100여명 ▷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 등 노동계 400여명 ▷이수호 전교조 위원장 등 교육계100여명 ▷송두환 민변 회장, 이돈명 변호사 등 법조계 150여명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 시민사회 500여명 ▷최문순 언론노조위원장, 김영모 기자협회 회장 등 현직 언론인 2000여명 ▷동아투위 위원 80여명 등이 서명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