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검찰 고발에 대한 언론 보도는 한마디로 ‘경악’과 ‘형평성 논란’으로 엇갈리게 나타났다. 한겨레 경향신문 대한매일 등은 각 언론사의 탈세 유형들을 자세히 소개하고 이번에 밝혀진 언론사주의 고발 문제를 집중 부각시킨 반면 조선 중앙 동아 등은 예의 비판언론에 대한 탄압이라는 논리를 펴며 고발에서 제외된 방송사 및 여타 신문사와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
조선 중앙 동아는 일제히 1면에 <야 “비판언론에 청부폭력”>(조선) <야 “비판적 신문 말살 의도>(중앙) <야 “언론압살 공작” 규탄>(동아) 등 한나라당의 주장을 주요기사로 보도하며 세무조사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특히 중앙은 1면 머릿기사 제목을 <추징세액 ‘신문 빅3’ 집중>이라고 달았으며, 조선일보는 3면에 <목표는 조선·동아였다-추징금 800억대 짜맞추기>라는 기사를 게재하고 이번 세무조사가 이른바 ‘빅3’를 겨냥한 편파적인 조사였다는 태도를 보였다.
또 조선과 중앙은 각각 <방송사는 왜 빠졌나>와 <“방송사 왜 뺐나”>라는 제목으로 신문과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으며, 동아일보는 고발된 언론사의 추징내용만 발표한다는 국세청의 기존 방침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17곳 추징액은 공개 안하나>라는 기사를 싣고 “국세청이 이들 17개 언론사를 제외한 배경에 의문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나아가 중앙일보는 <누가 세무조사 결과를 납득하겠는가>라는 사설을 통해 “시작부터 발표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형평성과 균형감각이 결여돼 있다”며 “비판적 논조의 일부 신문에 압박을 가하기 위한 거대한 시나리오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다는 인상이 짙다”고 못을 박았다.
또 조선일보는 국세청의 고발 내용은 거의 보도하지 않은 채 자사 관련 부분만 반론과 함께 간략하게 보도하고 <납세 1위 신문사에 가장 많이 추징> <중기 신문사주에 재벌급 증여세> 등 ‘세무조사 흠집내기’에만 주력했다.
한편 한겨레 경향 대한매일은 이번 국세청 조사에서 밝혀진 탈세수법들을 집중 보도하며 비리언론인에 대한 퇴진과 언론개혁을 강조했다. 한겨레는 <공익재단·임직원 통해 불법증여>, <부친후광 고속승진·탈세 닮은꼴> 등 언론사주들의 탈세유형을 부각시켜 보도하는 한편 언론단체와 학계의 반응을 <“비리 사주 언론경영서 물러나야”>라는 제목으로 주요하게 보도했다. 경향과 대한매일도 각각 <비리언론 먼저 반성하라>,<‘사주 성역’깨기…언론개혁 기대>를 주요기사로 보도하며 이번 언론사 고발에 대한 의미를 크게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번에 고발 대상 법인에 포함된 대한매일은 3면에 <공기업에 ‘사기업 과세논리’ 무리>라는 제목으로 “대한매일은 경영주가 자주 바뀌는 공기업의 특성에 비추어 조직적인 수입누락이나 이를 통한 비자금 조성 등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조직문화를 갖고 있다”며 반론을 폈다.
한편 한국일보는 사설 <법과 국민이 심판할 일이다>에서 “우리는 이 사태가 순수한 언론개혁 노력이라는 주장과 비판적 언론을 길들이려는 불순한 시도라는 항변을 모두 위선적으로 여긴다”며 “권력이 비록 상궤를 벗어났더라도 합법적 수단을 동원한 이상 법 절차에 따라 옳고 그름을 다투는 것이 순리”라며 어정쩡한 태도를 보였고, 국민일보는 29일자 사설 간과된 <국민일보의 특수성>에서 “비영리 종교재단에서 발행하는 신문인 국민일보의 특수성을 무시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