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편집국 성명을 필두로 검찰 고발에 포함된 언론사 기자들의 입장 표명이 잇따르고 있다. 4일 노보를 통해 입장을 발표한 중앙일보를 제외하고 국민일보, 한국일보는 자성과 사주·경영진 책임을 정면 거론했으며 동아일보 기자들은 자성과 공정보도 문제를 놓고 숙의를 거듭했다.
동아, 자성·신뢰회복 필요성 확산
동아일보는 2일 3시간여에 걸친 기자총회에서 성명 채택을 다음 총회로 연기했다. 총회 초기에는 강경론자가 많았으나 점차 자성론이 확산됐다는 전언이다.
이날 기자들은 “사주가 반성할 것은 반성하고 잘못은 법적으로 해결할 문제”라며 지면의 신뢰성 회복에 논의의 무게를 뒀다. 한 기자는 “사주 탄압이 언론 탄압은 아니며 이전투구식, 정파적 보도가 용인될 수는 없다는 비판도 있었다”고 말했다.
한 기자는 “신문의 공정성, 신뢰성 회복이 주요하게 거론됐으며 세무조사, 공정위 조사의 의도성에 공감하더라도 언론탄압을 주장하는 야당 주장을 과다하게 포장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김정일 사전 답방 정지용’, ‘동아기자 KBS 출연 정지’ 등의 기사가 ‘함량 미달’ 사례로 거론됐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논의를 통해 당초 부서별 대표들이 논의한 성명서 초안은 사주 반성 촉구, 정권의 의도 경계, 언론장악 기도 규탄, 공정보도에 대한 다짐 등의 내용이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거수를 거쳐 채택이 미뤄졌다.
한 기자는 “일부 간부들도 있었지만 오랜만에 터놓고 얘기한 자리였다”며 “결국 관건은 지면이다. 기자들이 제기한 지면에 대한 문제점을 간부들이 수용할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동아일보는 오는 9일 부서별 대표자 모임 및 국세청과 법조 출입 기자가 모여 다시 입장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민·한국 “투명경영 계기돼야”
국민일보 노조(위원장 박정태)는 6일 성명을 발표하고 “일부 언론사의 의혹 제기에도 불구 국민일보의 경우에는 그 본질과 성격이 전혀 다른 조희준 전 회장의 개인비리에 해당한다”며 “이를 계기로 경영 투명성 확보와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또“국민일보는 조 전 회장이 개인용도로 사용했거나 전용한 공금을 모두 환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사측으로부터 노사 공동으로 신문과 사주 고발에 대한 유감 성명을 내자는 제의를 받았지만 이는 그간의 노조활동을 전면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고 수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도 같은날 기자협의회 소식지를 통해 세무조사에 대한 경영진의 사과와 해명을 요구했다. 기자협의회는 “이번 세무조사에 대해 언론탄압 시비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결코 경영진의 잘못된 행태를 덮어줄 명분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기자협의회는 “회사 내에 어떤 상황이 발생하든 경영진은 물론 국장단과 일반 평기자까지 한결같이 침묵의 공범자가 돼서는 안된다”며 기자들의 자성과 간부들의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기자협의회는 이번 입장 발표와 관련 3일 상집위 논의를 거쳐 경영진에 대한 내부의 문제제기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모았다.
중앙, 노조 대의원회 언론탄압 규정
중앙일보 노조(위원장 고대훈)는 국세청 고발 조치 이후 성명 발표에 관한 대의원회의 논의를 거쳐 4일자 노보의 노설로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현 정권의 언론개혁은 개혁이란 미명으로 포장된 언론 장악 기도라고 본다”며 “세무조사 결과 중 일부에 대해 경영진도 반성해야 하나 이런 사소한 오류가 정권에게 언론장악의 정당성을 부여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이제 우리 스스로가 보도의 독립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의 고삐를 더욱 조여나가는 것이 언론의 정도”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