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부산 "개혁 필요하다…매일·영남 "우려·의혹"

세무조사 관련 지방언론 보도

김상철 기자  2001.07.07 12:01:14

기사프린트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싼 논란이 거듭되는 가운데 지방언론들은 대체로 언론탄압 의혹과 우려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기자칼럼과 사설의 논조가 엇갈리는 신문도 있었다. 반면 부산일보는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주목된다.

대구의 매일신문은 지난달 21일, 30일자 사설에서 “확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세금추징액 5056억원을 공표한 것은 어떤 의도가 숨어 있다는 의구심도 갖게 한다”며 “언론계 전체를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아 흠집 내려고 한다면 일종의 언론 재갈 물리기”라고 지적했다. 또 “방송사에 대한 불공정거래행위 조사는 하지 않아 신문엔 채찍과 방송엔 당근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도 있게 돼 있다”고 언급했다.

영남일보는 사설과 기자칼럼의 논조가 엇갈렸다. 영남일보는 지난달 30일자 사설에서 “세무조사를 받은 23개 언론사 중 6개사만 고발되고 방송사는 한 곳도 고발당한 곳이 없는 것에 대해 ‘봐주기’ 아니냐는 의혹이 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다.

반면 지난달 28일자 기자칼럼에서는 세무조사, 공정거래위 조사를 둘러싼 일부 언론과 갈등을 놓고 “원칙과 국민정서에 배치되지 않는 선에서 정리할 것은 정리하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2일자 기자칼럼에서는 한나라당의 색깔론과 지역공세에 대해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둔 측에서 상황을 일방적으로 몰아가기 위한 무리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부산지역의 경우 국제신문과 부산일보의 논조가 차이를 보였다.

국제신문은 지난달 20일자 사설에서 “일부 언론사에 대한 조세범칙 조사 통보는 언론사 길들이기가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것이란 의문을 살 만하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국제신문은 29일자 사설에서도 “4개월여에 걸쳐 1000여명의 조사원을 투입한 집중 세무조사가 언론의 본질가치를 훼손시키거나 특정 언론사를 말살시키려는 의도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부산일보는 21일자 사설에서 “지금은 ‘네 탓’보다 ‘내 탓’을 먼저 고백하고 ‘언론의 자유’에 앞서 ‘언론의 책임’을 함께 고민할 때”라며 “세무조사 결과 드러난 개별 언론사의 탈루 혐의를 공개하고 위법 사례는 검찰에 고발, 기필코 옥석을 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일보는 2, 3일자 신문에서도 ‘중앙 3사 무가지 시장 교란’,‘본질 벗어난 언론 세무조사-색깔론 등 정치공세만 난무’ 등의 기사로 언론개혁과 시장 정상화에 무게를 뒀다.

한편 국세청은 지방언론사 세무조사 실시 방침에 원칙적으로 변동이 없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지난달 정의화 한나라당 의원 질의에 대해 “지방언론사 세무조사는 연내 실시할 계획이며 시기나 규모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안정남 국세청장도 2월 국회 재경위에서 “지방 언론사에 대해서도 세무조사의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세청측은 5일 “기존 방침에 변동은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