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나라당과 일부 신문들이 세무조사를 통한 언론장악 음모에 정부가 방송을 이용하고 있다며 비난하고 나서자 각 방송사는 일단 공식 대응은 자제하고 있지만 기자들은 ‘근거없는 음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마디로 자사입장을 부각시키기 위해 방송음모론 운운하고 있지만 이는 편가르기 식 비난일 뿐이라는 것이다.
먼저 덩치가 훨씬 큰 방송사가 왜 세금 추징액은 더 적고 고발 대상에도 일제히 빠졌냐는 주장에 대해서 방송사 기자들은 “방송의 수입구조를 전혀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반박하고 있다. SBS의 한 기자는 “신문사에서 쓰는 세금 탈루의 전형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는 수입을 줄이고 지출을 늘려서 세금 총액을 줄이는 것인데, 방송은 수입의 대부분이 광고공사를 통한 광고비여서 구조적으로 수익부분을 가지고 장난칠 수가 없다”며 “근거도 없이 정부와 방송의 공조라며 몰아붙이는 것은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또 KBS 기자는 “KBS와 MBC는 개인 사주가 있는 신문사와는 다르다”며 “족벌신문의 비리와 방송사 탈세는 질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특히 조선일보가 98년 내일신문에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전제하에 보도됐던 문건을 바탕으로 ‘정부가 방송을 정권지지의 핵으로 활용’했다고 비난한데 대해, 방송사 기자들은 “출처도 불분명한 문건을 현재 상황에 짜맞춰 자의적인 해석까지 달아 보도한 것은 양식의 문제”라며 비판했다.
방송에 대한 또다른 공격중의 하나는 세무조사에 대한 방송 보도가 불공정하다는 것. 방송 3사가 세무조사결과 발표 후 자신들의 문제는 거의 지나가듯 하면서 연일 신문, 특히 동아 조선 등 정부에 비판적인 신문을 공격하는데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방송사 기자들은 “검찰 고발은 국세청의 판단사항이며 편파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하고 있다. 김승한 MBC 보도국장은 “국세청이 조사하고 발표한 탈세 부분을 나중에 묶어서 보도할 수는 없다. MBC도 공개해야 한다고 보지만 아직 내역이 통보되지 않았을 뿐”이라며 편파보도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각 방송사들은 이에 대한 공식 대응은 자제하고 있다. 일부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기자들도 있으나 자칫 소모적인 공방전에 휘말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감정적인 대응은 자제하는 한편 구체적으로 사실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MB는 지난 30일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를 조선·동아 등이 ‘언론탄압 56%’ 라는 내용만 골라 자사에 유리하도록 보도한 것과 관련, 4일 뉴스데스크에서 ‘입맛대로 요리’라는 제목으로 “‘조세정의 54%’, ‘일부 신문보도 편파적 67%’ 등의 답변은 빼고, MBC가 이 정도면 실제론 더 높을 것이라는 근거 없는 부풀리기까지 했다”고 비판하는 등 공개적으로 대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