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검찰수사 '사주비리'겨냥, 보도는'소강국면'

세무조사 공방 중간점검

김상철 기자  2001.07.07 12:05:51

기사프린트



국세청 고발로 검찰 수사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언론사 세무조사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이같은 기류의 다른 한편 애초 세무조사에 대한 반발의 주축을 이루었던 동아, 조선, 중앙 3사의 보도태도는 다소 편차를 나타내며 ‘휴지기’를 맞았고 검찰측은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동아·조선-중앙 보도차 눈길

“소수라도 탄압이라고 주장하는 언론이 있으면 언론 전체가 나서서 공동연대로 조사하고 밝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2일자 중앙일보 사설로 한때 각사별 연대의 공식화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으나 사실상 지면을 통한 보도 외에 특별한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보도태도는 동아·조선과 중앙이 차이를 나타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2일자에 ‘언론공격은 김정일 답방용’이라는 한나라당 주장을 주요하게 다뤘으며 ‘KBS·MBC 등 정부장악 매체 조선·동아 집중 포화’(조선), ‘방송사 세무조사 동아-조선 집중 보도’(동아) 등 방송 비판에 초점을 맞춘 기사도 아울러 게재했다.

조선일보는 2일자 1면 머리로, 이후 내일신문이 98년 보도한 것으로 판명난 ‘새정부 언론정책 보고서’ 기사를 보도했으며 동아일보는 3일자에 언론문건 6건을 정리, ‘비판언론 제동 한결같이 제안’ 기사를 보도했다.

두 신문은 ‘민주당이 언론사보다 도덕적이라 할 수 없다’는 정대철 민주당 최고위원 발언과 ‘현 정부의 언론공격으로 초헌법적 사태를 우려한다’는 김만제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발언도 주요하게 처리했다. 또 호남출신 계통도를 비롯한 언론공격 예상 시나리오(조선 2일자), ‘비판적 언론인 제거 리스트 나돌고 있다’(동아 5일자) 등 한나라당 주장을 주요 사안으로 다뤘다.

반면 중앙일보는 2일자 1면에 ‘언론자유 사라질 위기’ 제목의 기사로 한나라당 주장을 보도한 반면 이후 관련 기사에서 조선일보나 동아일보와 달리 균등한 편집을 보였다. 박관용 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특위 의원장과 김근태 민주당 최고위원의 긴급대담(2일자), 김대중 대통령의 ‘공정수사’ 발언과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 반응(3일자), ‘야 언론탄압 국면 닥쳤다-여 비리옹호 특권층 맹주’(5일자) 등의 기사에서 양측 주장을 제목으로 뽑는 식이었다.

중앙일보는 한나라당의 색깔론이나 지역론 공세에 별다른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다. 이기간 관련 사설은 ‘신문 때리기’(5일자) 하나였으며 주로 칼럼을통해 언론탄압 우려와 의혹을 표명했다.



외화도피 등 사주비리 초점

검찰수사는 현재 사주 외화도피 등 개인비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분위기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사주 고발의 경우 단순한 탈세 건만을 수사할 리는 없을 것”이라며 “횡령 혐의 등 개인비리에 집중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기자는 “사주 소환은 23일 이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사주 개인비리와 관련 해외지사 운영을 통한 광고비 누락, 윤전기 도입시 리베이트 의혹 등이 주요 혐의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언론사 간부는 “검찰이 섣불리 사안을 수사했다가 덮거나 하는 일이 생기면 더 큰 문제로 불거질 수 있기 때문에 그만치 신중을 기해 접근할 것”이라면서 “때문에 한번 수사에 착수한 사안에 대해서는 확실한 혐의를 잡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검은 6일부터 각 언론사별 회계·자금 담당 임원 등 담당자들에 대한 소환 통보 작업에 들어갔다. 보도에 따르면, 1차 소환대상자 10여명을 비롯해 대상자는 60여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새로운 발표가 나오지 않는 한 앞질러 기사 쓰기는 어려운 분위기”라며 “사주에 대한 불구속, 구속 수사 여부도 아직 결정난 단계가 아닐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