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한국일보 지부(위원장 임대호)가 임단협 결렬에 따라 6일 0시부터 12시까지 시한부 제작거부 투쟁을 하고 11일 전면파업에 돌입할 것을 선포했다.
한국일보 노사 양측은 지난 4월부터 임단협을 벌여왔으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퇴직금 원상복구 ▷임금 인상안 등에 대해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는 최종 협상안에서 노조가 올해 7년차 이상 비정규직원을 정규직원으로 전환하고, 내년부터 6년차·5년차 등으로 정규직 대상자의 연차를 내리자는 안을 내놓았다. 반면 회사측은 만 10년 이상 근무자에 한해 정사원 발령을 내되 만 7년 이상 근무자의 경우 특별 심사를 거쳐 정규직화 한다는 안을 제시했다.
퇴직금 문제는 97년 회사측이 교보생명에 500억원의 부채 상환을 독촉받자 사원 퇴직보험금 230여억원을 질권으로 저당 잡히면서 불거졌다. 노조는 올 7월부터 6개월마다 50억원씩 적립해 내년말까지 퇴직금을 원상회복하도록 요구했으나 회사측은 9월까지 10억원을 예치하고 연말까지 50억원을 예치하도록 노력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임금 협상안은 10% 인상과 3.5% 인상을 노사가 각각 제시했다.
지부는 5일 성명을 통해 “회사는 사주일가의 해외여행경비 5억원을 회사돈으로 사용하면서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요구는 인건비 추가부담을 이유로 거부하고 있다”며 “이제 족벌무능경영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투쟁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회사측 관계자는 “회사로서는 줄 수 있는 것은 다 내놓은 상황”이라며 “다음주 초에 노사간 협의 자리를 갖고 전면파업은 막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