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의 언론사 고발과 관련 검찰 수사가 비연고계좌 등을 통한 부외자금 조성과 개인 전용 여부 등 사주를 둘러싼 탈세 혐의에 모아지고 있다. 검찰 출입기자들에 따르면 검찰은 일부 신문사가 제3자 명의의 계좌를 도용해 별도의 비자금을 조성, 운영한 사실을 확인해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출입기자는 “검찰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바는 없으나 은행 관계자 소환 조사에 나서는 등 이같은 기미가 포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언론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탈세 누락을 중점적으로 조사해온 국세청에 비해 비용 과다계상을 통한 비자금 조성 여부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8월 중순 경이면 수사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기본적으로 국세청 고발사안에 대한 수사이기 때문에 사주들의 비자금 조성이나 돈세탁 과정을 추적하는 데 수사가 모아지는 것”이라며 “사주 기소는 조세포탈 혐의를 입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검찰이 해외자금 도피 등 추가 혐의 포착에 힘을 들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다른 기자는 “야당이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사주를 소환했다가 혐의가 입증되지 않으면 검찰 입장이 곤란해지지 않겠는가. 그만큼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8월 초에는 사주 소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 검찰의 언론사 압수수색 방침이 제기되면서 그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협조하지 않으면 압수수색을 할 수밖에 없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안다. 그 이상의 의미는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해당 언론사 거래처나 계열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사주 소환 시기나 구속 여부를 포함해 이번 수사에는 여러 변수가 있을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압수수색 역시 횡령 등의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검토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