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주비리 포착, 검찰 포위망 압축

검찰 국세청 고발 수사 중간점검

김상철 박주선 기자  2001.07.21 04:53:35

기사프린트

국세청 고발과 관련 검찰의 ‘포위망’이 점차 좁혀지고 있다. 검찰은 20일 현재까지 해당사 재무·자금·광고 담당자, 계열사 임직원, 명의 대여자, 은행 등 거래처 관계자 200여명을 소환 조사했으며 출국금지된 인사는 50여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언론계에서는 이같은 검찰 수사가 사주 비리라는 정점에 다다르는 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주요 혐의 사주로 통하나

한 검찰 출입기자는 “각종 혐의에 사주일가가 관련됐는지 여부를 수사하는 것은 피해갈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신문사와 거래처 전현직 관계자들을 통해 주식, 현금의 우회증여 여부를 조사하거나 부외자금 조성 등을 통한 사용처 추적도 사주 관련 혐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은행권에 차명계좌를 통해 별도로 자금을 관리해왔다는 혐의가 드러났을 때 한 언론사 관계자는 “은행에서 보다 많은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차명계좌를 동원하는 경우가 적잖다”며 “검찰의 차명계좌 조사는 상당부분 이같은 사안에 해당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반면 이후 검찰 수사는 은행의 전직 임원이 해당 언론사 자금을 별도로 관리, 자금 세탁 등에 관여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보도됐다. 한 기자는 “차명계좌의 경우 당사자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언론사와 은행 가운데 어느 측에서 이를 주도했고 그 자금이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가 당연히 조사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주 소환 시기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도 이같은 수사 양상에서 비롯된다. 검찰 관계자는 “사주 소환이 사법처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재소환해서 쓸데없는 오해나 반발을 부르는 일을 없애기 위해 가능한 한번 소환으로 끝낸다는 방침”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기자들은 사별로 수사 진척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주 소환 시기는 멀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법인이 고발된 한 신문사 대표는 다음주 중 소환 일정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고발 사안 동시다발 조사

한 검찰 출입기자는 검찰 수사가 지지부진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 “검찰의 공식입장은 일단 국세청의 고발 혐의를 중심으로 조사한다는 것”이라며 “고발 내용이 동시다발적으로 조사되고 있다”고 말했다. 광고료 수입 누락, 복리후생비 등 지출 과다계상, 일부 경비의 장부 누락 경위와 사용처 등 ‘일반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는것이다. 검찰 관계자도 “혐의 내용에 대해 추가 확인할 부분도 많다”며 수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세청 고발 사안 외에 추가 혐의 적발 여부도 관심을 모으는 부분이다. 한 출입기자는 “‘뭔가 더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현재로선 미지수”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기자는 “지금까지를 국세청 고발에 대한 ‘기초수사’ 단계로 본다면 이후 진행과정에서 추가 혐의를 포착할 여지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