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컴퓨터를 켜며] 94년 자료의 행방

김상철 기자  2001.07.21 05:20:04

기사프린트

발단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2월 9일 대통령 재임 시절 실시한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 언론사주의 재산, 사생활 비리 등 도덕적 문제를 포함해 언론의 존립이 위태로워질 정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94년 세무조사’ 논란에 불이 붙자 같은달 16일 이상수 민주당 원내총무는 “정권교체 과정에서 그 부분의 자료가 폐기되고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19일 안정남 국세청장은 국회 재경위에서 “99년 5월 청장으로 취임해 알아보니 조사 당시부터 나의 취임시점까지 세부자료가 없다고 하더라”며 “서류의 폐기여부는 그 당시 내가 있지 않아서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 이후 ‘94년 세무조사’는 ‘2001년 세무조사’에 묻혀 잠잠해졌다. 사실 ‘있을 것 같은데 없다니, 할 수 없지’ 싶었지만 ‘정말 없을까’ 하는 미심쩍음을 지울 수 없는 노릇이었다.

그러다가 16일, 다시 그때 얘기가 나왔다.

한나라당 언론자유수호비상대책특위 및 국정조사준비특위 위원들이 국세청을 방문한 자리에서 안 청장은 이렇게 말했다. “94년 언론사 세무조사는 형식적으로는 하자가 없지만 거의 실질적인 문제가 빠져있고, 세액도 전문가로서 납득할 수 없는 등 조사다운 조사가 안됐다.”

‘정말 없을까’ 하는 미심쩍음이 다시 살아났다.

이미 폐기된 서류의 무엇을 보고 ‘실질적인’ 문제가 빠져있으며, 전문가로서도 ‘납득할 수 없는’ 조사였다고 했을까. 안 청장은 앞뒤가 안맞는 본인의 말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이고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을 해야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