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환을 둘러싼 김대중 조선일보 주필과 검찰의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김 주필은 지난 6일자로 첫 통보를 받았으나 소환에 불응했으며 7일 밤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사표는 즉각 반려됐고 김 주필은 현재 가족들과 휴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검찰은 보강수사 과정에서 김 주필을 재소환하겠다는 방침을 거두지 않고 있다.
소환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이른바 ‘사주 구속 정국’ 속에서도 김 주필의 소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검찰은 사주 구속 이후 보강수사 과정에서 늦어도 기소 전까지는 김 주필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무리 짓겠다는 태세다. 이와 관련 검찰은 지난 8일 참고인은 반드시 소환에 응할 필요가 없다는 김 주필의 주장에 대해 ‘참고인이라고 규정한 바 없다’고 맞선 바 있다.
또 구속 영장을 청구한 16일에도 “영장청구로 수사가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라며 소환 의지를 거두지 않았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영장 청구 당시에도 ‘김 주필 소환이 물 건너갔다고 보긴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었다”면서 “김 주필이 서면조사에는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는 만큼 이르면 다음주 중 검찰이 어떤 식으로든 조사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주필 불응 이유 무엇인가
8일부터 회사에 출근하지 않았던 김 주필은 11일자 신문에 ‘공은 정권의 손으로’ 제목의 칼럼이 게재된 이후 12일 회사에 나왔다가 1주일 여간 휴가를 떠난 상태다.
김 주필은 칼럼에서 소환 불응에 대해 “이 정권의 기도에 맥없이 이끌려 다니는 우리의 처지에 대한 내 나름의 저항”이라고 밝혔다. “나를 불러서 사진 찍히게 하고 일부 언론들이 마치 나를 무슨 범죄자인 양 다루게 해서 언론사 세무조사가 ‘언론’의 문제가 아니라 ‘탈세’의 문제인 것으로 덮어씌우려는 기도 앞에서 그냥 주저앉을 수만은 없었다”는 것이다. 김 주필은 애초 검찰의 소환 통보에 대해 “서면조사에는 응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조선일보의 한 기자는 이와 관련 “타 언론이 개인의 문제를 악의적으로 건드린 면이 있다”면서 “김 주필도 애초에 사표를 내지 않고 칼럼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 검찰 출입기자는 “사장까지 조사에 응한 마당에 주필이 이를 거부한 것은 적절치 못하다”면서 “해명할 것이 있다면 떳떳하게검찰에 밝혀야 했다”고 언급했다.
정부 외압 사실 여부 논란
김 주필은 지난 7일 밤 사의를 표명하며 게재를 요청했으나 보도되지 못했던 ‘조선일보를 떠나며’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지난 4월 주필과 논설주간을 인사조치하라는 요구가 들어왔으나 이를 거절했다’고 밝혀 이같은 압력의 사실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주필은 정권의 외압과 관련 지난 6월 칼럼에서도 ‘어느 당국자로부터 아무개를 글쓰는 자리가 아닌 곳에 배치하는 등의 성의(?)를 보이면 일의 처리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는 귀띔이 있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여권의 한 관계자는 “언론사측에서 잘봐달라는 청탁이 오고 있다는 식의 말은 들었어도 이 정부가 그런 요구를 했다는 말은 금시초문”이라며 “이미 사주 구속까지 온 마당에 그런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김 주필은 미게재 칼럼에서 자신의 혐의에 대해 ▷역대로 임원들이 회사에 ‘참여’한다는 취지에서 일종의 임원사주조합 같은 형태로 재임기간동안 물려주고 물려받은 주식 0.5%를 93년부터 갖고 있으며 ▷개인사정으로 회사에서 빌린 돈 역시 월급여의 1/4이 공제되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