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조사와 사주구속 정국에 맞선 조선일보의 ‘홍보전’이 치열하다. 지난 4일 이후 지금까지 세차례에 걸쳐 사외보를 제작했던 조선일보는 지난주 일선 지국을 통해 세무조사의 부당성을 알리는 타블로이드판형의 한장짜리 전단을 배포했다.
이 전단에는 ‘가장 깨끗한 신문사에 가장 많은 세금 추징’, ‘조선일보 10년간 세금 2936억 납부…다른 모든 신문 납부총액 보다 많아’라는 큰 제목과 함께 조세전문가들은 정치적 잣대로 진행한 조치로 보고 있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또 현 정권의 언론탄압에 당당히 대처하겠다는 조선일보 입장이 실려있다.
이와 관련 한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조선일보가 독자확장 운동을 하면서 사외보 외에 이같은 홍보전단을 강남, 송파 지국, 일산 등 신도시에 배포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조선일보의 한 지국장은 “지국 차원에서 제작할 수는 없는 일이고, 본사에서 내려와 독자를 비롯한 주민들에게 배포했다”면서 “여기뿐 아니라 대부분의 지국에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4월까지 사원확장대회를 실시, 3만2900부라는 실적을 올린 이후 다시 7월 20일부터 10월까지 확장대회를 재개하면서 총 22만부 확장을 목표로 전 지국에 독자 10% 늘리기 운동을 시작한 바 있다. 당시 김재식 판매국장은 “세무조사 이후 시민들의 격려전화가 쇄도하면서 이같은 분위기를 활용해 1위를 완전히 굳히자는 차원”이라며 “민노총의 절독요구 등 부수는 많지 않지만 조직적이고 불순한 기도에 대응한다는 측면도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17일자 조선일보 사보는 “올 1~7월 서울지역 신축아파트 입주자의 27%가 조선일보를 구독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지난 4일자에 이어 방상훈 사장이 소환됐던 10일, 구속됐던 17일, 24일 잇따라 사외보를 제작·배포했다.
조선일보는 첫 사외보에서 세무조사와 방송 보도를 비판한 데 이어 2호에는 “특정신문만 골라 ‘보지 말라’ 강요…이것이 민주사회 시민운동입니까” 제목의 머릿기사를 비롯, ‘안티조선’을 겨냥한 비판에 나섰다. 사외보 3호는 ‘뭐, 조선일보를 친일지라고?’, ‘한용운, 일제 모진 탄압 때도 조선일보에 적극 기고’ 등 친일지 비판에 대한 반박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