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일 시작되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감 대상 및 일정을 최종 합의한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에서 대한매일·연합뉴스·MBC에 대한 업무현황보고 공개 여부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야당 문광위원들은 그동안 비공개로 업무보고를 받아왔던 대한매일·연합뉴스·MBC에 대해 공개 감사를 주장하고 있다. “언론개혁 논의가 사회적으로 확산된 마당에 언론기관이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공개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자율개혁을 유도하는 것이야말로 국회가 할 일”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여당 문광위원들은 “한나라당이 최근 언론사 세무조사 등을 둘러싸고 대한매일과 MBC의 보도태도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자칫 정책감사보다 정치공세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며 “관행대로 하자”고 맞서고 있다. 문광위 의원들은 지난달 30일 국감 대상 및 일정을 합의하면서 이같은 논쟁을 벌였으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오는 5일 다시 논의에 부치기로 했다.
해당 언론사들도 업무보고 공개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대한매일 한 관계자는 “민영화 단계에 있는 대한매일이 국감을 받는 것 자체가 부당한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법적으로 국감대상이기 때문에 비공개 감사는 어쩔 수 없지만 공개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MBC 한 관계자도 “MBC는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감사를 받고 있는데 굳이 업무보고를 해야하느냐는 내부 의견도 있지만 공적 임무를 수행하는 언론기관이라는 점에서 비공개로 업무보고를 해온 것”이라며 “공개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언론사도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인 만큼 감사를 받아야 한다는 여론과 언론사 특수성을 고려해 내부 기밀을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절충안으로 나온 것이 비공개 업무보고다. 98년부터 언론사에 대한 비공개 업무보고가 진행된 이래 해마다 여야간 공개 논란이 있어왔고 시민단체들도 “언론의 위세와 기득권에 굴복한 ‘배려’라면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해왔다.
한편 올해 언론 관련 국감일정은 오는 10일 문화관광부를 시작으로 11일 국정홍보처, 14일 방송위원회·방송문화진흥회·EBS, 24일 KBS·MBC, 25일 방송광고공사·언론재단·대한매일·연합뉴스 등이다. 서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