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세무조사를 통해 언론 내부의 환부가 드러나면서 언론계는 자성과 개혁을 통해 신뢰받는 ‘공기’로 거듭나야 하는 절체절명의 과제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현실을 돌파하고자 기자협회는 지난달 17일 창립 37주년 기념식에서 언론계 및 각계 대표들로 ‘언론평의회’를 구성해 편집권 독립 등 언론 전반의 문제를 자율적으로 풀어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어 27일에는 언론재단과 함께 ‘편집자율권과 언론평의회’를 주제로 제13회 기자포럼을 열어 언론평의회 구성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돌입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편집권 독립을 제대로 정착시키려면 언론사 경영진과 편집책임자들의 자율적 논의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사회를 맡은 김영모 기자협회장은 “세무조사 이후 국민의 언론 불신을 해소하고 자율적 언론개혁을 추진하려면 경영진과 편집진, 기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논의기구인 언론평의회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언론평의회는 언론사주, 편집자, 기자, 노조 등 현업 언론인을 중심으로 법률가, 언론학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언론발전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자율적 논의기구다. 김 회장은 “노르웨이에서는 발행인들과 편집인들이 ‘편집장 강령’을 제정해 편집 자율권을 보장하고 있다”며 “우리도 ‘언론평의회’를 구성해 사주와 현업기자들이 편집권 독립을 위한 논의와 합의를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주의 사회의 바람직한 언론제도를 위한 제언-언론평의회’를 발제한 이동근 조선대 신방과 교수는 “평소 언론기관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감시하는 제도가 정착돼야 한다”며 “서구의 ‘언론평의회’ 개념을 우리 언론사회에 제안한 것은 상당히 유의미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의 편집권 독립 논의 과정’을 발제한 김주언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어떤 상황에서도 정치권력이나 언론사주가 언론인의 언론활동과 편집권을 침해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으로 편집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정간법을 개정해 소유와 경영, 편집을 분리시키고 경영진과 편집진간에 편집규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성춘 전 한국일보 논설위원은 “편집권 독립을 법제화할 경우 언론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율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언론평의회를 구성해신문윤리강령부터 자율적으로 준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인규 전 경향신문 미디어팀장(인터넷신문 프레시안 편집국장)은 “시민단체와 일선기자들이 언론개혁을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 현업에서 의사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는 편집간부들은 무관심하다”며 “이들과의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자율적 언론개혁은 공염불로 그칠 공산이 크다. 경영진, 발행인, 현업 기자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희용 연합뉴스 여론매체부 차장은 “편집권 독립은 제도개선과 자율개혁이 함께 이뤄질 때 제대로 정착될 수 있다”며 “언론사주, 편집간부, 일선 기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논의기구를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