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주구속 "탄압 끝이 아니라 시작"

[인터뷰]언론탄압 항의 단식 박종웅의원

김상철 기자  2001.09.01 00:00:00

기사프린트

“94년 세무조사와 지금은 상황 다르다”



지난달 23일 박종웅 한나라당 의원이 ‘언론탄압 중단’을 요구하며 시작한 무기한 단식 농성이 일주일을 넘어섰다.

박 의원은 “현 정권은 조세정의라는 미명하에 대대적인 세무사찰과 공정위 조사를 실시, 언론사의 경제적 존립기반을 허물어뜨려 언론을 장악하려 하고 있다”며 “언론사 사주들을 파렴치범으로 몰아 구속시킨 것도 정해진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현재 물과 죽염만 먹으며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단식이라는 극한 수단을 택한 것은 “그동안 할 건 다했기 때문”이다.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에서 언론개혁 발언이 나온 이후 지금까지 청와대, 국무총리, 관계장관 상대 질의나 성명만 수십번을 전달, 발표했고 긴급현안 질의에 이르기까지 할 수 있는 방안은 다 동원해왔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당에서 말렸지만 MBC, SBS 토론에도 나가서 당당히 말해왔다”며 자신이 소신을 지켜왔음을 강조했다.

반면 지난 94년 세무조사와 관련 별다른 문제제기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그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만 언급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언론발전위 구성 결의안 발의를 자신이 주도했다고 언급하며 “지금 언론개혁을 외치는 사람들이 그때는 무엇을 했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박 위원은 “당시 언발위 활동기간을 2년으로 잡은 것은 언론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게 하루 이틀로 되는 일이 아니라는 취지에서였다”며 “건설적인 논의를 해보자고 제안했을 때는 가만있다가 대통령 한마디에 ‘언론 죽이기’에 나선 것 아닌가”라고 비난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에 대한 정부의 인사개입설과 광고 탄압 중단 요구에 대해서는 “주장이 잘못됐다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거나 정정 요청이 있었을 텐데 해당 언론사에서 별다른 얘기가 없었다”고 말했다.

검찰의 기소가 임박한 상황에서 구속 언론인 석방, 비판적 언론인 제거음모 중단, 언론자유 완전 보장을 촉구하는 박 의원의 농성은 계속되고 있다.

박 의원은 “언론사주 구속은 탄압의 끝이 아닌 시작”이라며 “언론사주 석방 등 가시적인 조치가 있을 때까지 단식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