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경품 한밤중 택배로 '몰래 몰래'

동아·조선·중앙 주도 판매시장 혼탁상 재연

아, 조선, 중앙  2001.09.08 00:00:00

기사프린트

"장담하는데 경품 제공할테니 확장해 달라고 요청하는 지국은 널려있다.”

한 판촉요원은 5일 최근 신문 판매시장 동향에 대해 이렇게 전했다.

판매 관계자들은 특히 8월 들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3개사 지국의 주도로 경품 제공 등 혼탁상이 재연됐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지역의 경우 은평구, 강서구, 양천구, 강북구 등을 필두로 확산일로에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종수법도 등장했다.

경품을 드러내놓고 가지고 다니던 이전과 달리 구독신청을 받으면 밤에 택배를 통해 경품을 전달한다는 것이다. 최근 ‘주 메뉴’는 1만6000원~1만8000원 상당의 발신자 표시 전화기다.

한 판촉요원은 “서울지역의 경우 조선일보가 처음으로 이 수법을 사용했다. 나중에 동아, 중앙일보 지국이 이 사실을 적발했고 지금은 3사 지국이 대놓고 경품을 쓰고 있다. 타사는 경품 쓸 여력도 없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한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강남의 경우 신문을 구독하면 심장병 어린이 돕기 성금 2만원을 대신 내주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같은 양상은 일산, 탄현, 의정부 등 수도권으로 번지고 있다. 관계자들은 ‘기록이 남지 않아 적발이 어렵다’며 고충을 표시하고 있다. 실제로 4일 탄현의 한 지국장은 “일주일 전에 경쟁사 지국에서 밤에 택배로 경품을 전달한다는 것을 뒤늦게 적발했다. 그나마 독자 제보로 사실을 알았다”고 말했다.

의정부의 한 지국장도 5일 “경쟁사 지국에서 오늘 경품을 트럭 채 들여왔다. 최근 들어 2~3개 지국에서 발신자 전화기를 비롯해 리모콘선풍기, 장식용수족관 등 다양한 경품이 돌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무가지 역시 6개월~1년간 제공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의 한 지국장은 “무가지 제한규정을 지키는 지국은 전국 어디에도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처럼 8월을 기점으로 동아, 조선, 중앙 등 3사 중심으로 과열양상이 재연된 것은 지난 7월 신문고시 시행 이후 신문협회의 자율규약이 확정되지 않은 공백기를 틈탄 확장경쟁이 주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 판매 관계자는 “올초 6개월 정도까지만 해도 판매시장은 잠잠했다. 자율규약이 확정되기 전의 공백기와 몇몇 신문이 ABC 가입을 선언하면서 경품을 동원한 물량경쟁이 다시 불붙었다”고 설명했다.

일선 지국장들은 이에 따라 많게는 2만원 안팎의 경품, 1부당 2만5000원의 판촉요원 수당,택배비용, 무가지 장기 제공 등 적잖은 비용을 들여가며 확장에 나서고 있는 형편이다. 한 관계자는 “통상 100부 확장에 500만원은 든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국장들은 이같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확장에 나설 수밖에 없는 요인을 본사의 요구에서 찾고 있다.

강제적으로 확장부수를 할당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본사 납입대금 인상 등 패널티를 부과하거나 아예 지국을 ‘접수’한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ABC에 가입한 한 신문사 지국장은 “연말까지 500부를 확장하라는 통보를 받은 상태다. 본사에서는 ‘우리가 경품을 쓰라마라 말할 처지가 아니다. 다만 목표량을 채우지 못하면 지국을 내놓으라’는 식”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 한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신문고시나 자율규약, ABC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면 확장 여지가 더욱 줄어들 것이다. 특히 경쟁관계를 고려할 때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