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가 올 1월부터 8월까지 집계한 사원들의 광고 유치 실적을 1위부터 18위까지 순위를 매겨 8일자 사보에 게재했다<사진>. 순위에 오른 18명 중 사장, 총괄이사, 총무부장을 제외한 15명이 편집국, 종교국 간부나 기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보는 “지난 6월부터 3개월간 광고 실적이 목표치를 달성했다”며 “임직원이 자립경영을 위한 광고유치 캠페인에 적극 동참한 결과”라고 밝혔다. 또 “올들어 8월까지 사원들이 개별적으로 유치한 광고만 무려 12억원에 달한다”며 “특히 하반기 들어서 기독교 광고가 급성장했다”고 말했다.
사보에 게재된 ‘광고유치현황’ 표에 따르면 사원들이 유치한 광고료 규모는 최고 1억1600만원에서 최저 1000만원 가량으로 나타났다. 상위권에는 김영한 편집국장, 최회봉 경제부장 등이 올랐으며 부서별로는 경제부 소속이 총 7명으로 가장 많았다. 편집국과 종교국의 부장급 이상 간부는 8명으로 집계됐다. 명단에 오른 편집국의 한 간부는 광고유치 방법에 대해 “다 아는 것 아니냐”며 “아는 사람에게 부탁해 광고를 유치했다”고 말했다. 순위권 내의 한 경제부 기자는 “직접 광고를 유치한 적은 없었다”며 “광고특집을 할 때 기사를 썼던 것이 광고유치 실적에 반영된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측 관계자는 “회사 사정이 어려워 올초 전사원을 대상으로 광고유치 캠페인을 벌였다”며 “강제성은 없었고 광고 유치액을 누적해 순위를 매겨 우수 사원들에게 시상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자들의 광고유치 실적을 발표하고 시상하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기자들이 광고 수주에 나설 수밖에 없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는 항의다. 편집간부나 기자들의 광고 유치가 보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묵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실제로 광고유치 캠페인을 벌일 당시 일부에서는 “우리가 광고사원이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한편 광고국 관계자는 “사보에 나온 광고유치현황표는 사실과 다르다”며 “회사 분위기가 침체돼 분위기 쇄신을 위해 이같은 발표를 하게 된 것”이라고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