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매일경제, 중앙일보 등 ABC 공사 참여사가 늘어나면서 신문시장의 투명성 강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반면 본사가 지국에 확장부수를 강제 할당하는 등의 물량경쟁도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공사를 앞두고 유가부수를 높이기 위해 본사에서 경품 등 판촉활동을 통한 확장을 지국에 강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ABC 공사에 참여한 신문사의 한 지국장은 “본사에서 연말까지 500부를 확장하라는 통보가 떨어졌다”며 난감해했다. 이 지국의 현재 유가부수는 1600부 정도로 3분의 1을 4개월여 안에 확장하라는 통보가 떨어진 것이다.
판매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품을 쓰지 않을 경우 1부 확장 시 판촉요원들에게 6만원 정도를 지급해야 하며 식대 등 경비를 추가하면 1부당 8만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지국장의 경우 본사 목표대로 500부를 확장하려면 무려 4000만원의 자금을 들여야 하는 셈이다. 한 신문사의 판매 관리자는 “본사 직원 1명이 15개 안팎의 지국을 관리하는데 ‘목표량을 채우지 못한 하위 1~2개 지국은 항상 지국을 내놓을 생각하라’는 식”이라며 “드러내놓고 경품을 쓰라고 말하진 않아도 사실상 판촉활동을 강제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판촉경쟁이 대부분 ABC 공사에 대비한 유가부수 확장 전략에 기인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유가부수 조작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서울지역의 한 신문사 지국장은 “본사가 몇몇 지국에 절독자 명단을 유료독자 명단에 끼워 넣었다가 예비공사 과정에서 문제됐던 곳도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지국장은 “이같은 문제 때문에 최근에 본사에서 이전 영수증 관리를 더 철저히 하라는 지침이 내려왔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ABC 공사 가입 확산 추세에도 불구하고 신문사들이 매달 지국에 청구하는 신문대금청구서에 정작 유가부수 항목이 빠져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 신문사의 경우 청구서에 ‘당월지대’라는 항목만 명시하고 있으며 또다른 신문사도 ‘기준 판매액’만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어 정확한 유가부수를 확인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서울지역의 한 지국장은 “지국 10년을 한 사람도 자신이 매달 몇부에 해당하는 대금을 내는 지 모를 정도”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신문공정판매총연합회(회장 이우충)는 12일 “신문사들이 확장 일변도 정책과 ABC 공사 가입으로 인한과당확장 경쟁을 주도해 일선 판매지국을 판매전쟁의 전위대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