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문화일보 사설 따로, 기사 따로

박미영 기자  2001.09.15 00:00:00

기사프린트

문화일보 노조 공정보도위원회(간사 김홍국)가 지난 13일 발행한 소식지 ‘공정보도’에서 “사설의 논조가 관련 기사와 충돌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며 “이념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편집 제작 방향과 논조를 논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식지에 따르면 지난 8월 12일부터 9월 11일까지 한달 동안 사설과 기사의 논조가 충돌한 경우는 모두 2번. 8·15 민족통일대축전 파문과 성 범죄자 신상공개 문제를 놓고 사설과 기사가 각각의 목소리를 냈다.

8월 23일자 사설 ‘남남갈등 차원으로 봐서는 안된다’는 8·15 민족통일 대축전 방북단의 돌출행동을 ‘남남갈등’으로 해석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이념적 편향, 몰가치, 오류 등에 빠져있는 돌출행동 당사자들의 주의 주장을 우리사회의 건전한 인식체계, 사유의 틀과 결코 동렬에 올려놓을 수 없다”는 논리를 전개하며 진보와 보수라는 대립구도 자체를 부인했다.

그러나 8월22일자 5면 기사 ‘좌우 공존의 문화 진지한 고민을’, 23일자 31면 ‘보-혁 충돌로 대혼란, 시민사회 역할 절실’ 등의 기사는 이 사태를 보혁 또는 좌우의 갈등으로 보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보수와 진보단체가 이념의 골을 해소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실어 대조를 보였다.

성범죄자 공개 문제와 관련해서는 8월 31일자 사설의 경우 ‘성범죄자 공개의 문제점’에서 “신상, 범죄사실 공개가 절차, 범위에 있어 최적의 선택인가, 우리는 득보다 실이 많다고 본다”고 밝힌 반면 30일자 31면 기사에서는 “확산방지 효과 65%, 인권침해소지 27%”라는 제목으로 일선 경찰서장의 시각을 소개하는 등 신상공개 방침을 옹호하는 기조를 유지했다.

공보위는 이와 관련 “문화일보는 특히 사원들이 직접 소유구조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사설의 논조를 포함한 신문의 이념과 정체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며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열린 논의는 지면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