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부소유 득 보다 실이 많다

대한매일 민영화 방안 마련 공청회

박주선 기자  2001.09.15 00:00:00

기사프린트

대한매일 민영화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지난 13일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토론자들은 대체로 “대한매일 민영화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으며, 민영화 방안으로는 주식의 공개매각이 아닌 감자 후 유상증자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문화관광위 여야 간사를 맡고 있는 고흥길 한나라당 의원과 심재권 민주당 의원은 토론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대한매일의 민영화에 찬성한다”며 “이를 위해 정치권도 관심을 갖고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주제발표를 맡은 황병선 대한매일 이사는 “서울신문에서 대한매일신보로의 제호 변경을 통해 지면의 공익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으나 경영상태를 호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는 무엇보다도 정부소유 신문에 대한 독자들의 외면 때문임을 부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영화 방안으로는 53.1% 감자 후 100.4% 유상증자안을 제시했다. 이는 문화관광부가 삼일회계법인에 의뢰해 나온 실질주식가치가 2330원(액면가 5000원)인데 따른 것으로 이 경우 최대주주인 재정경제부의 지분은 49.9%에서 24.9%로 줄어든다. 이와 관련, 황 이사는 “주주 일각에서는 감자 후 유상증자 대신 공개매각 방안을 주장하는데 이는 특수목적의 자본이 유입돼 공익언론으로 나가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황 이사는 민영화 이후에 대해서는 “각종 경비를 40% 가량 절감하고 공공부문을 특화한 지면을 통해 2005년까지 경영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론자로 나선 성유보 신문개혁국민행동 본부장은 “정부가 대한매일을 계속 소유하면 정부나 대한매일 모두에게 득보다 실이 많다”며 “민영화를 위해 정부의 결단이 핵심 관건인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욱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사원지주제와 공익재단의 복합 소유형태가 다양한 언론사 소유구조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시도해 볼 만하다. 또 임직원의 투지와 의욕이 높고, 현 상태로는 부채가 늘어나 내부 사원들뿐 아니라 공공의 손실이 커질 것”이라며 대한매일 민영화의 정당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