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역 담당은 있어도 지역 전문가는 없다"

국제보도 시스템 개선 절실

김동원 기자  2001.09.22 10:51:13

기사프린트

미국 세계무역센터 테러에 대응한 미국의 보복공습 방침 등을 다루는 국내 언론의 보도태도가 미국 편향을 드러내고 있는 것과 관련, 지역 전문기자의 양성과 특파원 제도의 개선 등 국제보도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언론의 외신 베끼기식의 국제보도 관행과 이를 뒷받침해온 취재시스템이 미국 등 서구 중심으로 쏠려있는 데 대한 문제제기인 동시에 국민들에게 국제문제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을 제공해야 한다는 언론계 안팎의 판단에서 비롯된다.

실제 국내 언론사 대부분이 상주 특파원을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등 구미 선진국과 아시아권의 경우도 중국이나 일본 등 주요국에 배치하고 있는 실정이고 연합뉴스의 경우도 중동지역엔 이집트 카이로에 1명의 특파원을 배치하고 있어 이번 미국 테러사건과 같이 분쟁이 끊이지 않는 중동 전역을 담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지역을 나눠서 ‘담당’하는 기자는 있지만 지역문제에 정통한 ‘전문기자’를 찾아보기 힘든 것이 오늘 언론사 국제부의 현실이기도 하다.

또 지역분쟁 문제와 관련해서도 일부 시사주간지들이 프리랜서 전문기자들과 계약을 맺고 해당 기사를 지면에 반영하고 있지만 이 역시도 드문 사례다. 이처럼 특파원들이 서구 선진국 등을 중심으로 배치돼 있는 데는 언론사의 비용 부담 등이 주원인이지만, 평시 지면이나 전파에 오르는 국제뉴스의 대부분이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보도돼 온 관행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지적이다.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김서중 교수는 “국제뉴스를 다루는 언론의 편향된 시각은 지역전문가나 전문기자를 키워내지 못한데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언론이 취재원을 특정한 입장과 견해로 한정시키는 관행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신문사 국제부장은 “균형 있는 보도를 위해선 전쟁의 상대방으로 지목돼 있는 중동쪽 사정에 밝고 관련 기사를 심층적으로 취재 보도할 수 있는 인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국제부장은 또 “대안으로 특파원이 해당 국가의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외국처럼 장기 파견제를 실시하거나 분쟁전문기자를 두는 방안을 검토할 수는 있으나 순환근무 방식의 현 언론사 편집국의 인사 시스템 아래선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부나 특파원과 관련한 편집국 인사시스템의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얘기다.

다른 신문사 국제부장도 “여건이 된다면지역분쟁전문기자를 두는 것도 좋지만 지역이 아니라 제3세계, 분쟁 등 주제별로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하다”며 “미국, 일본, 중국 등에 특파원을 장기 체류시키면서 그 나라 사정에 정통한 인력으로 양성하는 방안도 장기적으로는 좋은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제분쟁전문기자인 정문태 한겨레21 아시아네트워크팀장은 본지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번 미 테러사건과 같은 분쟁문제를 언론이 심층적으로 다루기 위해선 ▷유사 논조의 현지 언론과의 전략적 제휴 ▷국제분쟁 취재경험이 풍부한 내국인 출신의 프리랜서 기자 활용 ▷현지인 특파원 채용 등의 방안도 검토해 볼만하다고 밝혔다. 그는 “내부 인력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외부인력도 활용하는 개방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