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확인 감사를 앞두고 증인으로 채택된 구속 사주 3명의 출석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 3명은 늦어도 21일까지 출석요구서를 전달받게 된다.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출석 요구일 7일 전에 요구서를 송달토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구속 사주 3명의 출석 여부는 미지수다. 해당 신문사들은 아직 신중하거나 사실상 출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의 경우 출석 여부는 반반으로 보고 있다. 조선일보의 한 관계자는 “일단 ‘국회에서 부르면 가야하지 않겠느냐’는 반응도 있지만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최종적으로는 당사자가 결정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출석 여부는 미지수”라는 것이다.
동아일보도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의 한 관계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 변호인단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조희준 국민일보 전 회장의 경우 출석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비서실의 한 관계자는 “28일 첫 공판이 예정되어 있어 증인 출석이 힘들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방 사장과 김병관 동아일보 전 명예회장의 첫 공판은 24일로 잡혀있다.
증인 출석에 대한 신중한 반응은 사실상 문광위 확인감사가 청문회 형식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부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민주당이 박지원 수석 등의 증인 채택에 동의한 것도 구속 사주가 증인으로 출석할 경우 야당 공세에 맞대응할 수 있다는 판단이 주요했다는 관측이다. 탈세, 증여 등 개인비리 추궁으로 야당의 언론탄압 비판에 맞서겠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애초 사주 3명에 대해 참고인 채택을 요구했다가 증인으로 변경했었다.
한 정치부 기자는 “관련법상 증인 출석을 하지 않을 경우 검찰에 고발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나오지 않는다고 해도 실제로 추가 고발을 하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사주들이 출석하지 않으면 ‘정부측 증인들이 굳이 나와야 하겠느냐’는 형평성 문제도 거론되리라고 본다”며 “해당 언론사에서도 결정하기 쉽지 않은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첫 공판을 앞둔 구속 사주들은 대부분 이전과 같이 독서나 운동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상훈 사장의 경우 정몽준, 김상현의원 등 몇몇 정치인들도 면회를 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일자 동아일보 사내보 내용에 따르면 김병관 전 명예회장도 독서와 명상, 운동 등으로 일과를 보내고 있다.
김 전 명예회장은 지난 5일 국제언론인협회(IPI) 조사단 일행이 면회를 했을 때 “동아일보는 어떠한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지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