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부터 나흘간 열린 남북 장관급 회담과 관련, 공동취재단을 구성했던 내신과 외신 기자들이 기사 공유 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였다.
내신 기자들이 취재단은 공동으로 구성하되, 내외신간 관계 정립을 위해 자신들이 작성한 기사를 더 이상 외신 기자들에게 제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통일부 공보관실을 통해 밝히자 외신 기자들이 곤란을 호소한 것. 외신 기자들의 경우 남북관계 현안에 대한 이해는 물론, 현장 정보가 부족할 수밖에 없어 내신 기사를 참고하지 않을 경우 기사 작성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또 남북 당국간 회담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과 관련, 내신과 외신 기자들이 취재단을 따로 구성하는 예는 있었으나 이처럼 내신 기사를 제공하지 않기는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해 북미나 유럽 등의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북 관계 현안에 관심이 높은 일본계 외신 기자들은 20일 모임을 갖고, 통일부 공보담당자에게 항의공문을 발송하고 기자실쪽에는 이번 결정을 재검토해 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한 일본계 외신 기자는 “외신 기자들의 경우 취재원과의 관계나 현장 경험 면에서 서툰 게 많다”며 “만약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답방할 때도 이번처럼 내신 기사를 제공해 주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일본계 외신의 한국인 기자는 “남북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 외신기자들이 오보를 내는 문제를 사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내신 기사를 제공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통일부 출입 기자들은 5차 남북장관급 회담이 열리기 이전 자체 회의를 열어, ▷공동취재단을 구성해도 외신이 작성한 기사의 경우 내신 기자들에게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외신의 경우 연합뉴스의 기사 서비스를 이용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고 판단, 내신 기사를 외신 기자들에게 제공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 통일부 출입 기자는 “공동취재단에 참여한 내신 기자들의 경우 자사 마감에 쫓겨도 취재를 하는 등 희생을 감수하는 상황”이라며 “외신들도 공동취재단에 참여하는데 굳이 내신 기사를 제공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이 통일부 출입기자들 사이에서 많았고 원칙적으로도 내·외신을 분리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 기자는 또 “다음달 중순께 열리는 통일부 기자실 워크숍에서 공동취재단 운영 전반에 걸쳐 논의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서도 결론을 내릴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