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조선일보가 “세무조사지지 IFJ(국제기자연맹) 행사에 4억원 지원”이라는 요지의 기사에서 IFJ가 한국의 언론개혁을 지지했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을 받은 것처럼 보도한데 대해 언론개혁을 주장하는 언론단체의 도덕성에 흠집을 내기 위한 왜곡보도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세무조사를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하는 IPI(국제언론인협회) 서울총회에 대해서도 정부는 IFJ 서울총회와 마찬가지로 8억원을 지원했다. 또 지난해 IPI 한국위원회가 IPI 본부에 내는 분담금을 언론재단에서 지원했지만 이는 언급하지 않은채 마치 IFJ만 정부지원을 받은 것처럼 보도했기 때문이다.
국제행사에 대한 정부의 통상적이고 관례적인 지원을 언론사 세무조사와 의도적으로 연결시켰다는 지적이다. 세계 최대의 언론인 단체인 IFJ 총회때 해당국 정부가 행사 비용을 지원하는 것은 관행이기도 하다.
특히 IFJ 서울총회 유치신청은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인 95년 스페인총회에서 이루어졌다. 또 서울총회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정된 것도 지난해 9월로 올해 3월 시작된 언론사 세무조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음에도 이런 사실은 외면했다.
95년 IPI 서울총회는 현재 구속중인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IPI 한국위원회가 행사를 준비했다. 정부의 공익자금 8억원 지원도 IPI 한국위원회의 신청으로 이루어졌다.
95년 당시 방송광고공사 공익자금(현재 방송발전기금으로 바뀜)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IPI 한국위원회는 IPI 서울총회와 관련, 행사진행비 5억2650만원, 홍보제작비 2억7350만원 등 총 8억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행사진행비 항목은 ▷연회행사비 2억8500만원 ▷수송 및 관광비 8250만원 ▷행사장 임차비 4200만원 ▷초청비 5000만원 등이며, 홍보제작비에는 ▷주문제작비 1억1100만원 ▷영상제작비 6250만원 ▷도서인쇄비 5800만원 등이 포함돼 있다.
당초 IPI 한국위원회는 7억원을 신청했다가 전문요원 수당(2750만원), 통신비(1000만원), 영상제작비(6250만원) 등 1억원을 추가 신청해 총 8억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IFJ 총회에 비해 단순비교로 2배 가량을 지원받은 것이다. 그러나 95년도의 8억원 가치는 소비자 물가지수(95년도를 100으로 할 경우 2000년도는 121.5/한국은행 제공)를 기준으로 지난해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IFJ 지원금의 2.4배에 달하는 약 9억7000만원에 이른다.
II 한국위원회는 이외에도 지난해 IPI 본부에 내는 분담금 1만 달러(원화 1300만원, 27일 기준)를 언론재단의 지원을 받아서 냈다. 언론재단의 언론 시민단체 지원에 대해 특혜시비를 제기하면서 스스로 언론재단의 지원을 받은 것이다. 프레스센터에 입주해 있는 IPI 한국위원회는 또 언론재단에 임대료를 내지 않고 무상으로 사무실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프레스센터에는 IPI 한국위원회를 비롯해 (구)신문회관 당시 입주해 있던 14개 단체가 연고권에 따라 무상으로 입주해 있다.
이와 관련, IPI 한국위원회 측은 “95년 방송광고공사에서 8억원을 지원 받았다. IPI 분담금은 한국위원회나 국내 회원사가 자체 부담하는 경우도 있고, 지난해처럼 언론재단의 지원을 받은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