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아·조선, 언론·시민단체 '표적공격' 논란

서정은 기자  2001.10.08 00:00:00

기사프린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25일 언론재단 국감에서 논란이 됐던 시민단체워크숍 지원 및 전국언론노동조합 프레스센터 무상 입주 등을 한나라당 의원들의 자료에 근거해 여과없이 보도하면서 일부 사실을 의도적으로 누락하거나 축소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조선일보는 26일자 1면에서 “언론재단이 언론사 세무조사가 한창 진행중인 지난 6월 언개연 등 시민단체 50여명을 초청해 언론개혁 워크숍을 열고 정부 주도 언론개혁을 확산시키자는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동아와 조선은 같은날 보도에서 “언론재단은 조중동을 깨기 위한 전투요원을 언론개혁이란 미명 아래 양성하는 훈련원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는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의 발언을 그대로 실었다.

그러나 언론재단의 언론시민단체 연수는 김영삼 정권 시절인 93년부터 ‘언론 수용자 연수’라는 취지하에 매년 실시된 프로그램으로 올해 갑자기 급조된 사업이 아니다. 연수의 주제와 강사진 구성도 참가자들이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최광범 언론재단 연수팀장은 “지난 6월 열린 시민단체 연수는 이미 지난해 방송발전기금에서 예산이 책정돼 있었다”며 “지난 94년에는 각 언론사의 모니터 요원들도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한 바 있으며 그동안 감사 과정에서 시민단체 연수가 문제된 적이 없었다”고 반박했다.

언론노조의 프레스센터 무상입주 관련 보도에 있어서도 자사 이해관계에 유리한 부분만 부각시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동아와 조선은 26일자 보도에서 언론노조의 무상입주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한나라당 심규철 의원의 발언을 인용, “(무상입주가) 현 정권의 언론조사를 지지하고 홍보해준 대가라는 지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국제언론인협회(IPI) 한국위원회, 신문협회, 관훈클럽 등의 프레스센터 무상 입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프레스센터에 무상 입주해 있는 다른 현업 단체들과의 형평성을 따져볼 때 공익적인 현업 언론인 단체인 언론노조가 사무실을 무상으로 사용하는 것은 타당성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

언론노조는 “노태우 정권 시절인 88년 12월 프레스센터에 입주해 92년 10월까지 임대료를 냈으며 92년 11월부터 99년 12월까지의 밀린 임대료는 언론재단이 2000년부터 3년간 분할 지원하는 형태로 상계하는 등 자구노력을 기울여왔다”고 밝혔다.

김용백 언론노조 사무처장은 “언론노조의 사무실 무상 사용이 현 정권의 언론세무조사를 지지한 대가라면 노태우·김영삼 정권 시절에 무상으로 사용했던 관행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느냐”며 “일부 신문이 언론노조만을 표적으로 삼아 보도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