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국방송(KBS)과 문화방송(MBC)을 시작으로 재개된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의 언론관련기관 국정감사는 언론세무조사에 대한 방송의 편파보도 시비와 언론재단의 언론시민단체 지원, 언론단체의 언론회관 입주 문제를 놓고 여야 의원간 공방으로 전개됐다.
특히 야당의원들은 언론재단 국감에서 과거 김영삼 정부시절부터 지속돼 온 언론시민단체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과 일부 언론관련 단체의 언론회관 무상 입주 문제를 제기, 언론세무조사를 찬성해 한나라당과 마찰을 빚어온 언론시민단체의 순수성에 흠집을 내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사기도 했다.
25일 언론재단에 대한 감사에서 야당의원들은 재단의 ‘시민언론단체 간사연수’와 관련, “동아·조선·중앙 등 주요 신문사들을 공격하기 위해 홍위병을 키우려 한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이들은 또 언론개혁시민연대와 전국언론노조가 언론재단 건물에 사무실을 무상 임대한 데 대해 “정부의 언론개혁을 지지한 데 대한 특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여당의원들은 “시민단체 연수는 미디어수용자 운동 육성 차원에서 더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맞서면서 “홍위병 운운하는 것은 근거 없는 매도”라고 반박했다.
이에 앞서 24일 KBS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세무조사 관련 편파보도, 안동수 전 법무장관 충성메모 보도 누락, 열린 음악회의 지나친 대통령 예우 등을 예로 들어 박권상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여당의원들은 “언론사 세무조사를 부각시킨 것은 공영방송의 기본 책무”라며 맞섰다.
같은날 비공개로 이뤄진 MBC 국감에서도 한나라당 의원들은 “MBC가 세무조사에서 상당한 추징금을 받고도 다른 언론사를 앞장서서 매도한 것은 적반하장”이라며 “먼저 자성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또 “야당 의원들은 탤런트 최명길씨의 출산 소식을 전하면서 김한길 전 장관을 소개하는 것은 사전선거운동”이라고 주장했다. 여당의원들은 지난달 한나라당 의원들이 MBC를 항의방문한 데 대해 “편집권에 대한 간섭”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