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협상 결렬로 지난달 26일부터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광주매일의 경우, 사장이 공공연히 폐업을 언급하고 있으며 신문발행도 중단됐다. 경남신문 노조는 경영권을 둘러싼 양대 주주간 갈등 종식과 증자를 촉구하며 파업을 시작, 11일자부터 신문발행이 중단됐다.
대전지역의 경우 대전일보, 중도일보 노조는 사주가 경영 정상화 방안을 내놓지 못하자 경영권 포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방언론 관계자들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사안들을 같은 범주로 묶을 순 없지만 지방언론 정상화 문제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재확인 시켜주는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광주지역의 한 관계자는 “신문사 경영이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사주들이 신문 경영을 쉽게 포기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부담할 수 있는 자본의 한계를 넘어섰고 신문사 난립으로 신문의 ‘회소가치’가 떨어지다 보니 언론사주로서 누릴 수 있었던 영향력 역시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중앙지의 시장 잠식과 함께, 인터넷매체 활성화로 사주들의 모기업 비호 행태가 더 이상 묵인되지 않는 매체환경의 변화도 이런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기자는 “사주들의 투자 의지도 줄어들고 여력도 없다보니 이래저래 기자들의 근무여건만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주들의 신문사 ‘소유 의지’에 대한 이같은 관측은 아직 섣부르다는 지적도 있다. 충청지역의 한 기자는 “이 지역에서는 아직도 몇몇 인사들이 새 신문사를 창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장부상에선 손해를 보더라도 여전히 플러스 알파가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자는 “이런 움직임이 쉽게 신문을 만들고 쉽게 포기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엇갈린 분석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관계자들이 시장논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신문사 수의 변화가 올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는 점이다. 한 지방신문 논설위원은 “새로운 사주가 나타나건, 사원들이 새로운 신문을 만들 건 어떻게든 지방신문은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논설위원은 “최대 과제는 지방지로서 존재의의를 갖는 차별성의 확보”라며 “일차적으로 소유와 경영의 분리만 되더라도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대전지역 언론의 한 관계자는 “신문사간 합병이든, 재창간이든 ‘신문을 왜 하겠다’,‘어떤 신문을 만들겠다’는 구성원들의 구체적인 의지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 파업에 사측이 폐업을 공언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선 노조가 사주의 경영권 포기를 요구하는 현상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방언론 정상화 문제가 또다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