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자협의회(회장 이충재)와 광주매일 노조(위원장 정한진)는 각각 기자협의회 소식(12일자), 노조특보(15일자)를 통해 ‘경영진의 부당한 기사빼기’에 대해 비판했다.
한국일보 기자협의회 소식은 ‘경영진, 기사빼기 중지하라’ 제하 기사에서 “이용호씨 횡령, 주가조작에 대한 검찰의 무혐의 결정 관련 속보기사(9월 12일자)와 ‘청와대 등잔밑이 어둡다’는 기사(8월 25일자)가 경영진의 지시로 시내판에서 빠졌다”고 지적했다.
기자협의회 소식은 “이용호씨 관련 기사는 전날자 시내판에서 특종을 하면서 후속보도로 속보경쟁을 이끌 수 있었는데 경영진이 사회부와 상의조차 없이 기사를 빼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 보도 누락에 대해 “청와대 인근 주택가에 도둑이 설쳐 주민들이 벽보까지 붙인 발생사건을 기사화 한 평범한 사건기사였는데도 종로경찰서에서 한국일보 노조 파업 때 도움을 줬다며 경영진에 민원을 한 것이 먹혀 빠지게 됐다”고 말했다.
기자협의회 소식은 “경찰개혁에 대한 비판적 심층보도나 국세청 관련 기사에 이르기까지 그간 경영진의 지면 간섭사례는 일일이 열거하기도 구차할 정도”라며 “회사가 어렵다는 이유로 언제까지 이런 일이 당연시돼야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광주매일 노조특보는 모기업인 금광기업과 관련한 기사에 대한 경영진의 압력 행사를 비난했다. 특보는 “지금까지 금광기업 내부 문제는 물론이고 검찰 비리사실이나 국정원 직원의 단순 범행 등 사주의 친분에 얽혀있는 출입처에 대한 비리기사를 제대로 보도하지 못했다”며 “때로는 기자들이 반발하기도 했지만 사측의 부당한 압력을 이겨내기엔 역부족이었다”고 밝혔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례로 “올초 금광기업이 여수시에서 발주한 대규모 건설사업 입찰에 참여할 당시 경영진은 금광기업이 선정될 수 있도록 광주매일을 이용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당시 여주주재기자였던 김 모기자는 MBC 미디어비평(8월 18일)과의 인터뷰에서 “사업자 선정 전에는 경영진이 여수시 칭찬 기사를 종용하더니 사업자 선정에서 탈락하자 입찰과정의 특혜 의혹 기사를 강요했다”며“결국 입찰 절차에 대한 특혜 의혹 기사가 특정업체의 주장만을 여과없이 보도했다는 여수시의 주장을 반론보도문(7월 6일자)으로 실었다”고 말했다.
노조는 15일경 백서팀을 구성하고, 왜곡 보도와 경영진의 전횡 등을 수집해 책으로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백서팀 관계자는 “모기업의 계열사인 건설, 백화점 관련 기사 등은 성역으로 존재해왔다”며 “19일부터 조합원들에게 보도, 경영상 문제에 대한 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