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매일측은 26일 오전 9시경 류연진 총무부장이 서광주세무서에 폐업신고서를 제출하고 사업자등록증을 반납하면서 폐업 신고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회사측은 법인과 제호에 대해서는 부채 상환 문제 등으로 인해 추후 처리할 것이며, 사원들의 퇴직금은 11월 1일 부터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폐업에 대해 언론노조 광주매일 지부(위원장 정한진)는 26일 2시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측의 폐업 조치는 경영 부실의 모든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한 자본의 횡포”라고 비난했다. 또 “편집권 독립을 쟁취하고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는 독립언론의 새 길을 마련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이 제시한 폐업 이유인 ▷적자신문사 도태 ▷언론과 기업 병행의 어려움 ▷구성원간 화합 도모의 한계 등에 대해서도 “언론과 기업을 병행하기 어렵다는 논리는 언론을 방패막이로 이용하다 이제는 용도폐기 하겠다는 사측의 부도덕함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고경주 광주매일 사장은 22일 노조, 부장단, 지역주재기자 대표 7명과 만난 자리에서 “전사원이 사표를 제출하더라도 폐업 방침을 철회할 가능성은 50% 미만”이라며 사원들에게는 처음으로 폐업 방침을 공식화했다. 그러나 고 사장은 사원들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검토한 후 폐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당초 약속과는 달리 사원 대표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의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검토나 논의도 하지 않은 채 폐업 결정을 공식화해 비난을 사고 있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과 광주전남 민중연대회의는 26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광주매일의 폐업 철회를 촉구했다. 전국언론노조는 “폐업조치는 부도덕한 기업이 언론의 효용성이 약화되자 이를 일방적으로 용도폐기한 것”이라며 “회사측은 최소한 경향신문과 한화, 문화일보와 현대의 경우처럼 광주매일의 부채를 청산한 뒤 자산의 무상 양여를 통해 광주매일이 독립언론으로 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광주시지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등 10여 단체로 구성된 광주전남 민중연대회의는 “회사측의 무능하고 방만한 경영으로 인한 부실 책임을 광주매일 조합원들에게 전가하는 것은 용인될 수 없다”며 폐업 철회를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