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는 왜 지역갈등 해소에 실패했는가(이하 DJ는…)’의 저자인 성한용 한겨레 차장의 이번 논란에 대한 입장은 한마디로 “짜깁기에 의한 왜곡보도”라고 정리할 수 있다.
그는 한겨레 26일자에 실린 반박 글과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조중동 세 신문은 책의 내용 가운데 자신들에게 불리한 부분은 철저하게 외면하고, ‘언론탄압’의 인상을 줄 수 있는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모아서 기사를 썼다”고 밝혔다.
‘DJ는…’의 핵심 내용은 동아 조선 중앙의 지역감정 부추기기 보도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청와대 관계자들의 격앙된 반응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것이었으나 동아 등은 이 가운데 청와대 관계자들의 반응만 떼어내 세무조사가 처음부터 언론탄압을 위해 기획된 것처럼 보도했다는 것이다.
실제 ‘DJ는…’에서는 동아 2000년 9월 9일치 1면 머릿기사 ‘대구, 부산엔 추석이 없다’를 대표적인 지역감정 자극 기사로 소개했지만 동아는 25일자 ‘DJ는…’ 소개 기사에서 이런 부분을 다루지 않았다고 성 차장은 지적했다. 남시욱씨의 칼럼을 통해 정권을 향해 “두고 보자”고 협박했다는 부분도 다루지 않았다.
또 책 내용 가운데 “DJ 집권 직후 언론계 구성원들과 시민단체에서는 힘이 있을 때 언론개혁에 착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는 대목에서 ‘언론계 구성원’을 ‘청와대 내부’로 고쳐서 보도하기도 했다고 성 차장은 반박 글에서 밝혔다. 조선과 중앙 역시 자기에게 불리한 내용을 다루지 않기는 마찬가지라고 했다. 결국 “세 신문 모두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은 대부분 빼버리고, 정권 차원의 세무조사 ‘사전 준비작업’을 ‘언론사 탄압을 위한 사전 계획’ 및 ‘언론탄압 의도’로 증폭시켜서 보도한 것”이라는 얘기다.
게다가 성 차장은 ‘DJ는…’에서 언론사 세무조사의 배경이 정권과 언론의 ‘결별’이라고 결론을 내렸는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언론사 타격’까지만 언급했다고 지적했다.
성 차장은 이런 보도태도와 관련, 26일 ‘DJ는…’의 내용을 처음 보도한 동아일보의 정정보도를 요구하는 중재신청을 언론중재위원회에 냈다. 성 차장은 또 “민·형사상 대응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