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한용 한겨레 차장의 책 내용과 관련 정치권과 언론계에서 세무조사의 정치적 의도 여부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자 언론시민단체와 언론인들은 현 정권의 정치적 의도에 대해서는 비판하면서도 자칫 언론개혁의 의미가 퇴색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이유경 부장은 “언론단체는 그동안 집권 여당이 언론 길들이기 차원에서 세무조사를 이용할 것을 우려해 왔고, 한 점 의혹없이 투명하게 그 결과가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며 “민주적이고 합법적인 절차에 의해 진행돼야 할 세무조사가 정치적 의도에 이용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부장은 또 “정치적인 의도가 있었다고 해도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전면 부정으로 여론이 호도되는 것은 더 큰 문제”라고 덧붙였다.
최문순 언론노조 위원장은 “세무조사에 대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해서 언론사의 탈세와 비리가 면죄부를 받는 것은 아니다”라며 “언론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빌미를 잡히지 않을 만큼 최상위의 도덕성을 지녀야 성역없는 비판이 가능하다. 정치적인 의도에 대해 순수하지 못하다는 비판은 있을 수 있으나 그것이 언론은 탈세해도 괜찮다는 면죄부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수택 SBS 노조위원장도 “정권에서 의도를 했든 아니든 언론사가 세무조사를 받을 차례였고 그 결과 언론사의 빼돌린 돈이 나온 것은 객관적 사실”이라며 “정권의 의도가 불순하다고 비난하는 세력들은 세무조사를 하지 않고 자기들의 잘못을 덮고 넘어가는 게 마땅하다는 소리냐”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세무조사의 정치적 의도는 의도대로 지적하고 세무조사 결과는 그 결과대로 봐야 한다”며 “무엇보다 언론이 스스로 비리를 저질러 언론개혁의 빌미를 제공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민희 민언련 사무총장은 “일부 언론이 세무조사가 언론탄압이었다는 자신들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책 내용의 일부만 의도에 맞게 침소봉대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