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의 한 고위관계자는 25일 “최학래 사장이 지난 12일 이사회에서 경영개선과 재무구조 개선 방안의 하나로 증자 방안을 보고했다”며 “아직 회사 방침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사장이 이사회서 보고한 증자 계획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는 퇴직급여충당금을 출자로 전환하는 방법. 지난 8월말 기준으로 90억원에 이르는 퇴직금 적립금을 직원들의 사전 동의를 얻어 중간 정산한 뒤 우리사주조합의 출자금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연말께가 되면 퇴직급여충당금은 1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하나는 외부에서 추가로 자본을 영입하는 방법이다. 최사장은 이날 회의에서 그 규모를 200억원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어떤 성격의 자본을 영입할 지에 대해선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문제는 박우정 독자서비스본부장이 팀장을 맡고 있는 ‘증자추진기구’에서 세부 계획을 작성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방법으로 증자에 모두 성공할 경우 한겨레의 자본금은 기존 190억원에다 출자전환한 퇴직급여충당금 100억원, 그리고 외부 자본 200억원을 합쳐 모두 490억원에 이르게 된다.
한겨레가 증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수입 감소 등으로 투자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증자를 경영난 타개책으로 본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증자로 마련될 자금은 윤전기 도입과 현지 인쇄를 위한 외주계약에 주로 쓰여질 것으로 알려졌다. 윤전기 도입을 위해선 150억원 가량이 필요하고 영호남 지역에서 현지 외주인쇄를 하기 위해선 50억원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의 한 고위간부는 “현 윤전기로는 최대 40면 45만부 이상은 인쇄할 수 없어 증면과 발행부수 확대 등 공격 경영을 위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게 급선무”라며 “또 지난번 미국 테러사태에서 보듯, 지방 독자 확보를 위해서는 현지 인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가 이사급 간부를 팀장으로 한 별도의 추진기구를 설치한 점을 볼 때, 이번 증자를 적극 추진할 의사가 있음을 짐작케 하지만, 실제 한겨레 구성원들이 이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 지는 지켜볼 일이다.
퇴직금의 출자 전환 문제는 노조는 물론, 직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또 외부 자본을 영입한다고 하지만 경기 전반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선뜻 신문사 증자에 참여할 개인이나 기업이 있을지도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