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근 1년간 한가지 이상 촌지 경험" 64%

언론재단 언론인 의식조사

박주선 기자  2001.10.27 00:00:00

기사프린트

응답자 절반 이상 “촌지 기사에 영향”





현직 기자 3명 중 2명이 최근 1년간 금전, 선물, 향응 등 한 가지 이상의 촌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기자의 절반 이상이 촌지 수수가 기사의 선택이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월간 <신문과방송> 11월호에 보도된 언론재단의 언론인 의식조사 결과(조사기간 6.13∼7.9 대상 전국 신문·방송·통신사 기자 780명, 표본오차 ±3.4%) 전체 응답자의 64.4%가 최소한 한가지 이상의 촌지를 받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촌지 유형은 ‘금전’ ‘선물’ ‘향응접대’ ‘무료티켓’ ‘취재 관련 무료여행’ ‘외유성 여행’ 등으로 구분했고, 기간은 최근 1년으로 한정했다. 이는 99년도 언론인 의식조사 결과 한 가지 이상 촌지를 받은 기자가 응답자의 65.6%를 차지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같은 촌지 수수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51%는 기사의 선택이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크게 영향을 미친다’ 7.3%, ‘약간 영향을 미친다’ 43.3%)고 응답했다. 촌지 유형별(중복응답)로는 ‘향응 접대’(34.6%)가 가장 많았고, ‘선물’(30.0%) ‘금전’(28.3%) ‘무료티켓’(16.9%) ‘취재 관련 무료여행’(13.9%) 등이 뒤를 이었다.

조사결과 촌지 수수 빈도는 불공정보도, 오보의 빈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최근 1년간 불공정보도로 인해 지적을 받았다’는 기자는 24.8%였는데, 촌지를 받지 않은 기자는 불공정보도로 인해 지적을 받은 경우가 15.3%로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한 가지 촌지를 받은 기자’는 24.0%, ‘두 가지 촌지를 받은 기자’는 32.1%, ‘세 가지 촌지를 받은 기자’는 38.8%가 ‘불공정보도로 인해 지적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오보로 인해 정정보도를 한 경험이 있다’와 ‘사생활을 침해했다고 지적 받았다’는 문항에서도 촌지 수수 회수가 많은 기자일수록 ‘그렇다’는 응답이 많았다. 구체적으로 전체 기자의 12.8%가 각각 ‘그렇다’는 응답을 했던 두 문항에 대해 세 가지 이상 촌지를 받은 기자는 22.3%, 23.0%가 각각 ‘그렇다’고 응답해 평균 응답률을 상회했다.

한편 공정보도와 관련, 전체 응답자의 57.6%가 불공정보도나 오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사실의 미확인이나 불충분한 취재’를 꼽았으며, ‘기자의 부주의’(22.4%), ‘언론사간의 지나친 경쟁’(9.0%), ‘마감시간에 따른압박감’(5.6%)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출입처 기자단 제도에 대해서는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82.1%(전면적으로 개선돼야 한다 18.6%, 부분적으로 개선돼야 한다 63.5%), ‘폐지돼야 한다’가 8.5%, ‘현행대로 유지돼야 한다’가 9.5%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