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동부 기자실이 주 5일 근무제 논의사항 전반에 대한 노사정위원회의 엠바고 요청을 놓고 논란을 벌였다.
통상적인 엠바고 요청이 특정 사안에 대해 기간을 명시해 제한적으로 이뤄지는데 비해 이번 주 5일 근무제 논의와 관련한 엠바고의 경우 ‘합의될 때까지’ 기한을 정하지 않고 협상 내용은 물론 일정까지 포함시킨 매우 이례적인 요구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 무한정 엠바고는 곤란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지만 노동부 출입기자들은 그 동안 주 5일 근무제 관련 보도가 협상 상황에 따라 ‘타결임박’, ‘결렬위기’ 등의 표현을 반복, 독자들에게 다소 혼란을 준 점과 주 5일 근무제 합의 필요성 등에 공감, 지난달 31일 엠바고를 수용키로 했다. 그러나 일부 언론사 데스크가 이런 기자실 결정 내용을 보고 받는 과정에서 “엠바고가 너무 포괄적이다”라며 문제를 제기, 논의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유용태 노동부 장관이 데스크들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5일 마련한 신문사 사회부장들과 간담회에서는 결국 몇몇 부장이 엠바고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기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당초 엠바고 수용 쪽으로 의견을 모았던 기자들도 6일 다시 회의를 열어 엠바고 수용 입장을 철회했다.
노동부의 한 출입기자는 처음 엠바고를 수용한 이유에 대해 “주 5일 근무제가 반드시 실시돼야 한다는 데 기자들이 공감했고 또 이를 위해선 협상타결이 필수적인데, 언론보도가 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선 안된다고 판단해 노사정간 합의를 기다리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일보는 8일 ‘주5일 근무제 웬 엠바고?’란 제목으로 노동부 출입기자의 기명칼럼을 게재, “주 5일 근무제는 국민생활은 물론 경제전반에 혁명적 변화를 몰고 올 중대사안”이라며 “이런 일에 대해 엠바고를 요청한 것은 논의과정에서 생길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아니면 국민의 귀를 막은 채 ‘그들만의 합의’를 하겠다는 발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