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역언론에 '민원해결 저널리즘' 제안

강준만 교수, 공공적 민원 공개해결로 무관심 극복

박주선 기자  2001.11.17 00:00:00

기사프린트

지방언론을 살리기 위해 신문사간 상호결합을 하자는 방안(본보 1117호 참조)이 나온 데 이어 ‘민원해결’ 저널리즘이 또다른 해법으로 제기됐다. 지역언론이 지역민들의 민원을 공공적 차원에서 발굴하고 공개적으로 해결해주는 ‘해결사’ 역할을 하자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강준만 전북대 교수는 12일자 새전북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지역 신문들이 ‘민원해결’을 ‘특화’하고 ‘전문화’하여 지역신문이 지역 발전과 지역민 권익옹호의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는 것을 널리 알림으로써 지역민들의 무관심에 자극을 주자”고 주장했다.

‘민원해결’ 저널리즘이야말로 지방언론의 가장 큰 문제점인 지역민들의 무관심을 극복하기 위해 지금 당장 전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것이다. 강 교수는 그 이유를 네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지역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공공적 차원에서 민원의 공론화는 기존의 불합리한 법과 관행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민의 지역언론에 대한 관심과 신뢰를 제고할 수 있다. 셋째, 지역밀착성 보도를 강화할 수 있다. 그간의 지역밀착 보도는 ‘전북이 홀대받고 있다’는 등 ‘거대이슈’에 치중해 겉돌았다는 것이다. 넷째, 모든 사람들로부터 박수를 받을 수 있고, 비리를 캐내는 폭로 저널리즘과는 달리 신문사에서 마음만 먹으면 비교적 쉽게 실천에 옮길 수 있다.

강 교수는 이같은 대안 제기에 앞서 “민원해결 저널리즘이 미국의 공공저널리즘을 흉내낸 발상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 이상의 발상”이라고 밝혔다.

공공저널리즘은 시장논리 위주의 저널리즘에 반기를 들고 언론이 지역 현안에 대해 ‘관찰자’가 아닌 ‘해결사’ 노릇을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생겨났다. 하지만 한국의 지방언론 문제는 시장논리 위주의 저널리즘이 아니라 시장 논리조차 작동되지 않을 정도로 지역민들이 무관심한 것이라고 강 교수는 지적한다.

강 교수는 끝으로 “이 제안은 지역민이 지역언론에 대해 갖는 최소한의 관심과 신뢰에 관한 것”이라며 지역언론인들이 패배주의와 냉소주의부터 갖지 말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