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북정책 보도와 관련, 조선일보와 한겨레가 논조나 인용하는 정보원의 성향, 여야 취재원의 활용 정도에 있어 상반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언론재단이 최근 펴낸 연구서 <대북정책과 언론-국가 관계>에서 두 신문의 98년 2월부터 2001년 7월까지 대북정책에 대한 기사를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이 기간동안 두 신문의 대북정책에 대한 해설기사의 논조는 차이를 보였다. 조선일보는 지지의사를 밝힌 경우가 2.8%인 반면 한겨레는 12.0%에 달했다. 반대의사의 경우에도 조선일보가 19.8%, 한겨레가 3%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신문사의 입장이 들어있는 사설에서는 그 차이가 더욱 큰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일보의 경우 사설의 논조가 지지 2.2%, 반대 74.1%인 반면 한겨레는 지지 33.6%, 반대 7.8%로 나타났다.
연구서는 이같은 논조의 차이가 각 신문이 인용하는 정보원의 태도와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일보의 경우 해설기사에서 인용된 정보원 중 13.1%만이 지지 발언을 한 데 비해 31.2%는 반대 발언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겨레는 지지 발언이 18.3%, 반대 발언이 15.6%로 조사됐다. 사설의 경우에도 조선일보는 대북정책을 비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보원을 인용하는 경우가 61.8%, 한겨레는 옹호목적으로 인용하는 경우가 56.3%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반면 한겨레는 비판목적으로 정보원을 인용하는 경우는 한 건도 없었고, 조선일보는 옹호 목적으로 인용한 경우가 8.8%로 나타났다. 연구서는 "이는 신문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정보원의 의견을 빌어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두 신문 모두 정부여당과 한나라당을 취재원으로 활용하는 빈도가 75.3%, 80.9%로 높았다. 구체적으로 조선일보는 정부여당 56.0%, 한나라당 19.3%, 한겨레는 정부여당 63.5%, 한나라당 17.4%로 한겨레가 정부여당을, 조선일보가 한나라당을 약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신문 모두 주요 취재원이 정치권력층 내부로 나타나 언론보도가 제도권에서 진행되는 정책논의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서는 분석했다.
한편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시기에 관계없이 일관된 프레임으로 대북정책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서는 이에 대해 "언론이 정책의 전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이슈를 상황에 맞추어 구성해 가는것이 아니라 이념적 성향에 따라 국가정책을 평가하고 해석하는 프레임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언론-국가 관계의 해석에 많은 함의를 지닌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