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기자들이 접대 골프, 부킹 청탁, 스폰서 내기 골프 등 고질적인 골프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자정 노력에 나섰다.
KBS 지회(지회장 용태영)가 최근 접대 골프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과반수 이상의 기자들이 ‘보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접대 골프 문화를 개선하자는 의견을 밝혔다. 접대 골프를 거부하는 윤리강령을 제정하거나 취재와 관련된 경우만 허용하는 내부 지침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KBS 지회는 이같은 설문 결과를 토대로 12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KBS 지회가 지난달 30일부터 4일간 ‘접대골프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설문에 응한 208명의 기자들 가운데 골프를 치는 기자들은 77명(37%)으로 나타났다. 골프를 치는 회수는 ▷한달에 한두번 17%(36명) ▷1년에 10번 이내 16%(33명) ▷주말마다 4%(8명) ▷안친다 63%(131명) 등으로 조사됐다.
골프를 치는 기자들은 빈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골프 접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대 골프의 빈도를 물은 결과 10% 미만은 36%(28명), 10∼50% 정도라는 응답은 30%(23명)였다. 반면 50∼80%가 접대골프라는 의견은 16%(12명), 거의 다 접대골프라는 응답도 14%(11명)나 됐다.
또 골프를 치는 기자들의 65%는 내기 골프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끔씩 한다’ 51%(39명), ‘대부분 내기 골프’ 13%(10명), ‘내기 없이는 안한다’ 1%(1명), ‘안한다’ 35%(27명)로 조사됐다. 내기 돈을 스폰서가 제공하는 경우는 40%가 ‘가끔 있다’(31명)고 밝혔으며 ‘주로 스폰서가 제공한다’는 대답은 1%(1명)였다. 나머지는 ‘그런 적 없다’(51% 39명), ‘거부한다’(2.5% 2명)고 밝혔다.
골프장 부킹 방법은 주로 스폰서나 선후배가 마련한 자리에 참석하고(60% 46명) 골프장 부킹 담당자를 통하거나(13% 10명) 출입처 선후배(10% 8명) 또는 친분 있는 공무원(8% 6명)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회원권을 사용하는 경우는 14%(11명) 뿐이었다(복수응답). 따라서 기자들의 80%는 골프 접대와 부킹 청탁이 없으면 골프를 칠 기회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현저하게 줄어든다’ 30%, ‘거의 못 할 것이다’ 25%, ‘약간 줄어든다’ 25%로 나타났으며 ‘내 돈 내고 현재처럼 칠 수 있다’는 대답은 20%에 불과했다.
접대골프가 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56%가 ‘부정적’이라고답했으며 ‘관계없다’ 27%, ‘긍정적’ 6.5%로 나타났다. 접대골프와 뉴스보도의 관계에 대해서는 ‘민원 가능성을 높인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53%로 가장 많았으나 ‘친해진 인간관계로 취재가 용이해진다’(35%)거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28%)는 현실적인 답변도 적잖았다(복수응답).
이러한 기자들의 생각은 출입처 기관장이나 고위 공무원 등 주요 취재원과의 골프 모임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20∼40% 정도에 그친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대조적으로 ▷기자가 스폰서를 콜하는 경우(86%) ▷스폰서에 내기 돈을 받는 경우(83%) ▷골프장 회원대우를 받는 경우(60%) ▷출입처를 통해 부킹 청탁(75%) ▷동료 기자에게 부킹 청탁(63%) ▷기자가 직접 골프장에 부킹 청탁(67%) 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금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접대 골프와 관련 ▷일정 기준을 정해 최소한의 경우만 허용하고(32% 67명) ▷접대 골프를 거부하는 윤리강령을 제정하는(25% 55명) 등 과반수 이상이 골프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스로 자제하도록 개인 판단에 맡기자’는 의견은 43%(90명)로 나타났다.
보도국 한 기자는 “평기자 뿐만 아니라 골프를 많이 치는 간부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할 때 바람직한 골프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설문조사를 계기로 접대 골프를 개선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간부들이 연말에 잡아뒀던 골프 일정을 취소하는 등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용태영 KBS 지회장은 “대부분의 기자들이 접대골프에 부정적이고 과반수 이상이 실질적인 내부 규정이 필요하다고 밝힌 만큼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출입처 장관이나 국장급 공무원 등과의 골프는 어느 정도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취재와 관련이 있을 때만 허용하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