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 해 언론계에 몰아친 정부 주도의 언론개혁으로 우리가 ‘얻은 것’은 무엇이고 ‘잃은 것’은 무엇인가?
김대중 대통령은 올 초 기자회견에서 “언론계·학계·시민단체·국회가 합심해 공정한 언론개혁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되돌아보면 그러나 개혁에 대한 준비된 프로그램도 없이 밀어붙인 정부측과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등한시한 시민단체들만 한목소리를 냈지, 정작 언론계는 신문과 방송, 이른바‘조중동’과 ‘한경대’로 갈려 정부 주도의 언론개혁의 정당성 등을 둘러싸고 쟁론만 일삼았다. 언론사 세무조사와 공정거래위 조사가 진행되면서 신문과 방송, 신문과 신문간에 ‘전선’이 형성되고 기자사회도 양분됐다.
여야 정치권은 원칙 없이 당리를 좇아 극한 대립을 했고, 학계와 지식인 사회 역시 모두의 지혜와 힘을 아우를 만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결국 정부 주도의 언론개혁은 물건너가고 있는 형국이다. 개혁 방안으로 제시된 정기간행물법 개정은 지지부진하고 언론발전위원회 구성도 난망이다. 언론 기업들의 경영이 전보다 투명해 지고 납세라는 국민의 보편적 의무에 충실해 지리라는 기대가 수확이라면 수확일까?
그러나 한편으로 일부 언론사의 세무조사 결과 자체 공개, 연합뉴스·대한매일 등 정부 지배하에 있는 언론사들의 독립 움직임, 언론노조의 ‘언론인 자정선언’, 일부 신문사들이 참여 의사를 밝힌 신문 공동배달제 추진, 일부 지역 공무원들의 기자실 폐쇄 요구 등 언론계 안팎에서 일고 있는 일련의 변화들에서 우리는 희망의 싹을 본다. 이런 변화들을 우리는 언론개혁이라는, 함께 가는 길의 이름 없는 이정표로 보고 싶다. 정부 주도의 언론개혁 과정에서 드러난 언론사간의 시각차도 언론 문제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언론개혁이라는 시대의 과제를 공론화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했다고 믿고 싶다.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우리는 새삼 언론개혁이 기자들의 몫임을 확인한다. 정부 주도의 언론 개혁이 그 한계를 드러냈거니와 언론계 스스로 추동하는 자율 개혁만이 언론의 진정한 변화를 담보할 수 있다고 믿는다. 진작에 우리 스스로의 반성과 자각 위에 언론개혁의 목표를 세우고 대상을 점검했어야 했다는 자책도 해 본다. 자정, 출입처 제도 등 취재 시스템의 개선 등 개혁의 과제는 가까이 있다.
때마침 기자사회의 근간인 한국기자협회가‘아름다운 경선’을 통해 38대 집행부를 구성했다. 새 집행부의 임기 첫 해가 기자가 중심에 서는 언론개혁, 기자사회가 견인하는 참 언론 만들기의 원년이 되기를 소망한다.
새 집행부가 자사이기주의 풍조로 무너진 기자사회의 횡적 연대를 복원해 내고 중지를 모아 우리 스스로를 언론개혁에 동력화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