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공적자금 엉터리보도 국가이미지 실추

박주선 기자  2001.12.12 00:00:00

기사프린트

언론의 부정확한 공적자금 관련 보도가 국가 이미지를 떨어뜨렸다는 비판이 언론계 내부에서 제기됐다.

중앙일보는 지난 6일자 경제면 ‘탈도 많은 공자금…외신보도에 국가 신뢰도 실추’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일부 국내언론의 엉터리 보도를 외신이 따라 실음으로써 국가 이미지가 구겨졌다”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와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이 일부 국내 언론을 보고 “한국의 은행 간부들과 부실기업 임원들이 6조5000억원의 공적자금으로 제 주머니를 채웠다”는 보도를 했다는 것. 이는 일부 국내 언론이 지난달 30일께 감사원 감사 결과를 보도하면서 1면 머릿기사로 ‘공자금 7조이상 빼먹었다’ ‘공적자금 7조 빼돌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낸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는 “감사원 자료는 공적자금 투입을 초래한 부실기업주와 금융기관 임직원들이 7조원대의 재산을 보유 또는 은닉했다는 것이지 공적자금 7조원을 직접 빼돌렸다는 것은 아니었다”면서 일부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동아일보도 7일자 ‘일부언론, 공자금 오보로 국가이미지 먹칠’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 AP통신이 서울발 기사를 통해 은행 직원과 부실기업주들이 6조5000억원의 공적자금으로 자기 주머니를 채웠다고 보도하면서 한국이 세금을 천문학적 규모로 빼돌리는 나라로 잘못 알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수길 중앙일보 경제담당 에디터는 이에 앞서 지난 4일자 칼럼에서 “공적자금 7조원을 빼돌렸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이처럼 황당한 거짓 내지 지레짐작이 없다”며 비판했다. ‘7조원 재산’의 실체는 감사원이 기업, 금융기관 부실책임자들의 재산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밝혀진 돈이지 이들이 ‘빼돌린 공적자금’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화 몇통만 더 하고 자료를 한번 더 읽으면 알 수 있는 사실 확인에 대해 소홀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김 에디터는 “이같은 부정확한 보도는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기업 구조조정을 할 채권은행들의 부실채권 현실화 작업을 위축시켜 결국 공적자금 회수율을 떨어뜨린다”며 “정치, 사회면의 선정주의에 비해 경제면의 선정주의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