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역방송 상업논리 '희생양' 안된다"

서울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구조 필요

박미영 기자  2001.12.12 13:12:24

기사프린트

수도권 지상파 방송의 위성재전송에 대한 지역방송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9개 MBC 계열사와 7개 지역민방으로 구성된 지역방송협의회 최창규 의장(전주방송 노조위원장)을 만나 위성재전송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들어봤다.

-수도권 지상파 방송을 위성재전송할 경우 지역방송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지역방송사들과 네트워크 관계에 있는 수도권방송을 직접 지방에 내보낼 경우 지역시청자들은 지역방송이 아닌 수도권 방송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면 지역방송사의 존재가치는 없어지고 결국 고사하고 만다. 2년간은 수도권 내에서만 허용한다는 발표내용도 기만이다. 수도권 외 지역은 셋탑박스에 수신제한장치를 설치한다는 것인데, 가가호호 방문해 단속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결국 내년 3월부터 전면 허용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현재 위성재전송과 관련해 방송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행법은 KBS와 EBS를 의무 재전송하도록 한 반면 MBC와 SBS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 따라서 의무재전송 부분을 삭제하고 위성사업자가 지상파방송을 재전송할 경우에는 방송위의 승인을 받도록 법을 개정해 당사자간 계약에 따라 재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려는 것이다. 현재 의원발의로 국회 상임위에 상정돼 있다.”

-그러나 여야 모두 미온적인데 법개정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고 있나.

“각 당이 모두 우리 안대로 당론을 정한 상태는 아니지만 방송위의 결정이 잘못됐다는 것과 법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 국회 문광위 차원에서 13일 공청회를 갖기로 하는 등 논의가 성숙돼 있는 만큼 내년 2월 임시국회까지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지역방송도 경쟁력을 갖추고 생존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은 프로그램을 잘 만들면 수익이 나는 구조지만 지방은 만들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다. 서울에 비해 30∼40분의 1에 밖에 안되는 제작비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이 나오기 힘든 것은 당연하다. 먼저 서울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